정의
원인
급성 신부전의 원인은 크게 신전성, 신성, 신후성의 세 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째, 신전성은 신장으로 공급되는 혈액량이 감소하여 발생합니다. 구토나 설사로 인한 심한 탈수, 심부전, 간경화, 패혈증 등으로 신장 혈류량이 줄어들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둘째, 신성은 신장 자체에 사구체 질환, 세뇨관 질환, 간질 질환, 신혈관 질환 등이 생겨 발생할 수 있습니다. 셋째, 신후성은 소변이 배출되는 길에 문제가 생겨 발생합니다. 요로 결석이나 종양 등으로 인해 요로가 막히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평균 연령이 증가하고 당뇨병이 많아지며 방광의 신경이 약해져서 소변 배출을 하지 못하는 신경인성 방광이 신후성의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증상
급성 신부전의 주요 증상은 소변량 감소(핍뇨)입니다. 그러나 절반 정도의 환자에게서 소변량이 어느 정도 유지되는 비핍뇨성 신부전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 외 오심 및 구토, 부종, 고혈압, 울혈성 심부전, 폐부종, 고칼륨혈증, 산혈증, 경련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진단
치료
급성 신부전의 치료 방법은 원인 질환 치료와 증상 완화의 두 가지로 나뉩니다.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서 수분 제한, 전해질 균형, 산-염기 균형, 충분한 칼로리 공급, 합병증 예방 및 치료 등의 방법을 사용하며, 응급 시에는 혈액 투석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경과
급성 신부전의 치료 목적은 신기능을 회복하는 것입니다. 신기능 회복에는 원인 질환이 많은 영향을 미칩니다. 경우에 따라 완전히 회복되기도 하고, 손상이 지속되어 만성 신부전으로 이행하기도 하는 등 다양한 경과를 보입니다.
관련 건강 콘텐츠
관련 건강 Q&A
-
Q
투석은 한번 하면 계속하나요 ?A
안녕하세요. 투석 치료에 대해 궁금하신 듯합니다. 투석 치료를 하게된 원인 질환이 무엇인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다양한 원인에 의한 말기 신질환의 경우 신장 기능이 회복될 가능성이 낮으므로 혈액 또는 복막 투석 등을 유지해야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급성 신장 손상 등이 일시적인 투석 치료를 통해 회복한다면 이후에는 투석 치료를 계속 하지 않기도 합니다. 궁금증 해소에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Q
갈색 소변이 나오면 신장에 문제가 있거나 신부전 있는 사람도 색깔이 진해져서 나오나요?A
네 맞습니다. 신장내과 내원하셔서 정확한 상태 확인 및 치료가 필요하겠습니다. -
Q
갈색 소변이 나오면 신장에 문제가 있거나 신부전 있는 사람도 색깔이 진해져서 나오나요?A
안녕하세요 갈색 소변은 -파괴된 혈색소(적혈구에서 산소를 운반하는 단백질) 때문에 갈색 소변이 나타날 수 있고 -신장, 요관 또는 방광에서 출혈이 발생하면 파괴된 혈색소가 소변으로 누출될 수 있고 또는 -적혈구를 손상시키거나 파괴하는 특정 질환들(용혈성 빈혈) 때문에 그 혈색소가 소변으로 배출될 수 있습니다. 또한 심한 근육 손상 이후 소변에 배출되는 근육 단백질(미오글로빈) 때문에 갈색 소변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병원에서 소변검사를 해봐야 합니다. 건승하세요
관련 후다닥TV
기본 정보는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를 참고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