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기면증은 수면 발작(야간에 충분한 수면을 취해도 낮에 심하게 졸음), 탈력 발작(감정적으로 흥분할 때 힘이 빠지는 증상), 입수면기의 환각, 수면 마비(가위눌림) 등 네 가지의 특징적인 증상을 보이는 수면 장애의 일종입니다. 기면증의 증상은 청소년기에 처음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심한 졸음으로 학업에 장애를 초래하며, 운전자의 사고 위험을 높입니다.
원인
기면증은 흔히 청소년기 또는 초기 성년기에 발병합니다. 대부분 30세 이전에 발병한다고 합니다. 중추신경계 내의 하이포크레틴 전달 이상이 병의 원인과 관련된다고 추정합니다. 유전적 요인도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증상
탈력 발작, 낮 시간대의 졸음(수면 발작, sleep attack), 입수면기의 환각, 수면 마비 등 네 가지의 특징적인 증상이 나타납니다.
가장 흔한 증상은 수면 발작으로, 자신도 모르게 잠에 빠져들며, 15분 정도 수면 후 맑은 정신으로 깨어나는 것입니다.
탈력 발작은 주로 감정의 변화와 결부되어 근육의 긴장이 갑자기 소실되어 쓰러지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증상이 한꺼번에 나타나지는 않습니다. 몇 년의 간격을 두고 나타나기도 하고, 심한 정도가 각각 달리 나타나기도 합니다. 기면증 진단을 받기 전에는 낮 시간대의 졸음으로 인해 게으른 성격으로 오인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진단
기면증을 진단하기 위해서 1박 2일 동안 수면검사실에 머무르면서 야간 수면 다원 검사와 주간 검사를 연이어 시행합니다. 야간 수면 다원 검사에서는 낮 동안 졸음을 초래할 만한 다른 수면 장애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주간 검사에서는 심한 주간 졸음, REM 수면 이상 증상을 객관적으로 확인합니다.
치료
기면증은 약물을 이용하여 치료합니다. 낮 동안의 졸음 증상에는 각성제를 사용합니다. 최근 사용되는 각성제는 부작용이 적고 안전하며 효과적이어서 장기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약물 복용 중에도 심하게 졸음이 올 때는 20분 정도 낮잠을 자도록 합니다. 탈력 발작, 수면 마비에는 항우울제 계통의 약을 사용합니다. 밤에는 규칙적이고 충분한 수면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관련 건강 콘텐츠
관련 건강 Q&A
-
Q
요즘 몸이 나른하고 항상 졸리며, 자도자도 피곤합니다. 그리고 갑자기 저도 모르게 잠들어있기도 하고요. 이거 왜 이러는걸까요.A
안녕하세요 '기면증' 인지 확인해 보세요 기면증은 적절하지 않은 시간대에 잠드는 경향이 있는 "낮 시간의 과도한 졸림"입니다. 밤에 잠을 충분히 잤는데도 낮에 잠이 너무 쏟아져서 일상생활이 힘든 경우가 있고,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마치 전기 스위치를 내리는 것처럼 갑자기 잠이 드는 수면발작을 보이기도 합니다. 이런 경우 기면증을 의심해야 합니다. 밤잠을 검사하는 수면다원검사와 낮잠을 검사하는 반복적 수면잠복기 검사를 통해 진단을 내리기 때문에 수면다원검사가 가능한 병원에서 진료를 받아보세요. 건승하세요 -
Q
요즘 약간 장거리 운전하면 너무 졸음이 쏟아지는데요 이것저것 해도 졸음이 없어지지가 않네요 기면증의 일종일까요?A
기면증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질환은 약물을 이용하여 치료합니다. 낮 동안의 졸음 증상에는 각성제를 사용합니다. 최근 사용되는 각성제는 부작용이 적고 안전하며 효과적이어서 장기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약물 복용 중에도 심하게 졸음이 올 때는 20분 정도 낮잠을 자도록 합니다. 정신건강의학과 내원하셔서 정확한 상태 진단 및 치료 받으시길 바랍니다. -
Q
요즘 약간 장거리 운전하면 너무 졸음이 쏟아지는데요 이것저것 해도 졸음이 없어지지가 않네요 기면증의 일종일까요?A
안녕하세요 #요약 '기면증'인지 검사를 해보세요 기면증은 적절하지 않은 시간대에 잠드는 경향이 있는 "낮 시간의 과도한 졸림"입니다. 밤에 잠을 충분히 잤는데도 낮에 잠이 너무 쏟아져서 일상생활이 힘든 경우가 있고,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마치 전기 스위치를 내리는 것처럼 갑자기 잠이 드는 수면발작을 보이기도 합니다. 이런 경우 기면증을 의심해야 합니다. 밤잠을 검사하는 수면다원검사와 낮잠을 검사하는 반복적 수면잠복기 검사를 통해 진단을 내리기 때문에 수면다원검사가 가능한 병원에서 진료를 받아보세요. 건승하세요
기본 정보는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를 참고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