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기억상실증(amnesia)이란 과거의 일을 기억하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쉽게 말하면 기억을 잃어버리는 것을 말합니다. 오래전의 일을 기억하지 못하거나 가끔씩 기억을 잘 해내지 못하는 것은 기억상실로 보지 않습니다. 가끔 기억이 잘 나지 않는 증상은 건망증이라고 하며, 심한 기억상실을 건망증이라고 하지는 않습니다.
원인
기억상실은 심인성과 기질성의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심인성은 해리성 기억 장애라고도 하며, 스트레스나 충격적인 사건에 대한 기억 재생에 장애가 발생한 것을 말합니다. 단지 하나의 사건만 상실되지 않고 과거의 일정 기간에 대한 기억까지 상실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기질성은 개인의 사회적 및 직업적 기능에 현저한 지장을 초래할 정도로 기억 장애가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산소증, 저혈당, 낙상과 같은 외상, 뇌종양, 항불안제나 대마초와 같은 약물 사용 등으로 발생합니다.
증상
완전 기억상실은 기억 자체가 불가능한 것을 말합니다. 신체적인 문제보다는 정신적인 문제로 인해 발생하기 쉽습니다. 다만 외상으로 인해 완전 기억상실이 될 만큼 뇌가 손상되었다면 증세가 심각할 수 있습니다.
부분 기억상실에는 장기 기억상실과 단기 기억상실이 있습니다. 장기 기억상실은 옛날 기억을 부분적으로 잊어버리는 것으로, 정상적인 망각 과정과 구분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단기 기억상실은 바로 전에 일어났던 일을 기억하지 못하는 것으로, 가장 흔한 증상입니다. 단기 기억상실은 대부분 저절로 좋아지지만, 드물게는 영구적으로 기억이 상실되기도 합니다.
기억상실이 오면 감정적 둔마나 무감동, 불안, 초조, 흥분을 보입니다. 일시적인 당황을 보이기도 하며, 때로는 이를 무마하기 위해 거짓 기억을 지어내어 말하는 작화증을 보이기도 합니다.
진단
신경인지 검사를 통해 기억력이 떨어져 있는지 확인합니다. 또한 CT나 MRI 같은 영상 의학적 검사로 뇌 변화가 동반되었는지 확인합니다. 그러나 심각한 기질성 기억 장애가 아니면 대부분 정상입니다.
치료
기억상실로 인한 문제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정서적으로 지지해 줍니다. 일상생활과 사회 적응을 증진할 수 있도록 재활 치료, 생활 습관 개선, 기억력 훈련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좋습니다.
관련 건강 Q&A
-
Q
기억력이 자꾸 안좋아져요 처음에는 그냥 내가 깜빡한거구나했는데 폰을 자꾸찾아다니고애기약을먹였는지도 모르고 밥을 먹였는지도 제가먹었는지도 모르겠어요 우울증이랑 수면장애로 치료는 꾸준히 받고있구요 가끔은 옛날집앞에있어요 갑자기 여기왜있는지 기억도안나고요 12년전에 머리수술했었다고는하는데 너무심한거같다는데 치매일수도있을까요?A
안녕하세요 과로와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성인들에게 생각보다 환자분과 같은 기억력 감퇴를 호소하며 걱정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치매보다는 기억을 저장하는 능력 자체에 문제가 생긴 경우보다는 주의집중력이 일시적으로 저하된 경우가 더 많다고 합니다 이런 기능저하를 유발하는 가장 흔한 원인이 스트레스와 우울증입니다 과도한 스트레스와 우울증의 경우 주위집중력이 떨어지고 건망증이 발생하여 자신이 치매 초기인것처럼 착각하게 됩니다 우선은 충분한 안정과 휴식을 취하셔서 몸과 마음을 평안하게 하시면서 규칙적인 생활습관과 몸에 무리가 가지 않는 운동으로 몸 컨디션을 조절하시는 것을 조언드립니다 그래도 증상이 호전이 안되면 가까운 신경과에 내원하셔서 진료 보시는 것이 좋겠지요 힘내시구요 건강 지키시는 2022년 보내시기를 기원합니다 -
Q
기억력이 자꾸 안좋아져요 처음에는 그냥 내가 깜빡한거구나했는데 폰을 자꾸찾아다니고애기약을먹였는지도 모르고 밥을 먹였는지도 제가먹었는지도 모르겠어요 우울증이랑 수면장애로 치료는 꾸준히 받고있구요 가끔은 옛날집앞에있어요 갑자기 여기왜있는지 기억도안나고요 12년전에 머리수술했었다고는하는데 너무심한거같다는데 치매일수도있을까요?A
흔히들 기억력 불편감이 발생하게 되면 치매를 의심하게 됩니다. 치매와 관련된 진단에 있어서는 신경과 혹은 정신과 전문의 선생님들의 진단기준에 맞는 검사가 필요하겠지만. 일반적으로 기억력 불편감이 실제 질환과 연관성이 있는지에 대해 고민이 된다면, 본인의 기억력 저하증상이 일상생활에 문제가 잦은편인지에 대해 생각해봐야 하겠습니다. 치매의 정도는 독립생활이 가능한정도에서의 기억력 저하정도라면 큰 문제가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기억력저하문제가 일상생활에 불편감을 주며, 타인 혹은 본인에게 물질적 정신적 피해를 준다면 곰곰히 치매에 대해 고민해 봐야할 것입니다, 상기 내용에 부합하거나 걱정이 많을 경우 각 지역 지자체에 치매안심센터가 있으니, 방문이후 무료 검사 진행하시고, 추가 검사시 병원급 내원하여 정확한 진단검사 진행을 권고드리겠습니다. -
Q
기억력이 자꾸 안좋아져요 처음에는 그냥 내가 깜빡한거구나했는데 폰을 자꾸찾아다니고애기약을먹였는지도 모르고 밥을 먹였는지도 제가먹었는지도 모르겠어요 우울증이랑 수면장애로 치료는 꾸준히 받고있구요 가끔은 옛날집앞에있어요 갑자기 여기왜있는지 기억도안나고요 12년전에 머리수술했었다고는하는데 너무심한거같다는데 치매일수도있을까요?A
안녕하세요 무언가를 자주 잊어버릴 때 ‘건망증’이란 말을 하는데, 건망증은 의학적 증상은 아니며, 뇌에서 여러 가지 일을 할 때 일시적인 과부하가 걸려 무의식적으로 수행한 일이 뇌에 저장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잊어버리는 하지만 건강한 상태라는 겁니다. 반면 일상생활에 영향을 줄 만큼 심하게 기억력이 떨어지는 경우는 '기억장애'라고 합니다. 특히 다른 사람들 대부분이 기억하는 일을 본인만 기억하지 못할 경우 건망증보다는 기억장애가 아닌지 확인해 봐야 합니다. 건망증 말고 '기억장애' 건망증과 기억장애의 감별진단은 ‘신경인지검사’를 통해 나이와 학력을 고려한 평가기준에서 기억력이 떨어져있는지를 확인하여 진단하게 됩니다. 신경과에서 진료를 봐보세요 건승하세요
기본 정보는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를 참고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