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뇌염은 뇌실질의 염증성 질환을 의미합니다.
① 일차성 뇌염
급성 바이러스성 뇌염이라고도 합니다. 뇌, 척수가 감염되면서 발생합니다. 감염 부위가 국소적인 경우도 있으며, 뇌 전체인 경우도 있습니다.
② 이차성 뇌염
바이러스 감염의 후유증으로 발생하는 뇌염입니다. 다른 부위에서 일차 감염이 이루어진 후 이것이 뇌로 퍼지면서 나타납니다. 보통 일차 감염이 발생한 지 2~3주 후에 나타납니다.
원인
일차성 뇌염은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병합니다. 바이러스성 뇌염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는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단순 포진 바이러스, 아르보 바이러스(arbovirus), 수두 대상 포진 바이러스, 엡스테인 바 바이러스(Epstein-Barr virus), 거대세포 바이러스, 일본 뇌염 바이러스 등이 있습니다. 박테리아성 뇌염은 수막뇌염의 형태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산발성 뇌염의 75%는 장염균, 네이세리아 뇌염균, 폐렴구균에 의해 발생합니다. 고령, 면역 저하자에게 발생하는 뇌염의 원인은 리스테리아균 등입니다.
뇌농양, 두부 외상, 뇌 수술 등과 관련하여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뇌염은 황색 포도상 구균, 연쇄상 구균과 관련이 큽니다. 신생아에게 발생하는 뇌염은 주로 대장균, 연쇄상 구균에 의해 발병하며, 드물게 살모넬라, 시겔라, 클로스트리다움, 임균 등으로 인해 발병하기도 합니다. 이외에 아급성 및 만성 반복성 뇌염의 원인에는 결핵균, 곰팡이,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HIV) 등이 있습니다.
증상
뇌염의 증상에는 두통, 발열, 오한, 구토, 의식 저하, 혼미, 시력 저하, 경련 발작 등이 있습니다. 증상의 정도는 원인 질환, 병변의 위치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여러 신경학적 이상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뇌염은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두통, 무기력, 쉽게 화냄 등의 증상이 나타나더라도 오래 지속되지 않고 사라집니다. 이외에 잦은 졸음, 혼동, 방향 감각 상실, 목의 뻣뻣함, 밝은 빛을 싫어함과 같은 증상이 나타납니다. 갓난아이의 경우 정수리 부위(대천문)가 붓고 팽창하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진단
증상을 자세히 관찰하고 흉부 촬영, 혈액 검사를 시행하여 염증 여부와 동반된 질환이 있는지를 확인합니다. MRI 뇌 영상 검사와 뇌척수액 검사를 통해 뇌에 염증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특히 뇌척수액 검사는 척수액의 염증 유무와 구성 요소를 분석하여 뇌염의 원인을 밝히고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검사입니다.
치료
뇌염의 증세가 심하지 않을 경우, 잘 먹고 충분하게 수분과 휴식을 취한다면 호전되기도 합니다. 두통, 열이 있는 경우 해열제인 타이레놀이나 아스피린을 복용합니다. 소염제를 통해 뇌 안의 부기를 줄일 수 있습니다. 발작이 있다면 항경련제를 사용하여 치료합니다.
감염성 뇌염은 원인이 된 감염균에 따라 항생제, 항바이러스제, 항결핵제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뇌염이 뇌농양과 함께 있다면, 배농과 같은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 혈관염에 의한 뇌염은 스테로이드를 사용해 치료하기도 합니다.
경과
뇌염의 심각한 합병증은 호흡기 기능의 상실, 혼수상태, 사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뇌염의 후유증으로 기억력 상실, 언어 구사 능력 상실, 근육 실조, 마비, 시력 및 청력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환자가 지속적인 두통, 구토, 고열 증상을 보이거나 이와 동반하여 의식 혼탁이 발생한 경우 최대한 빠르게 의료진에게 진료받아야 합니다.
관련 건강 콘텐츠
관련 건강 Q&A
-
Q
심내막염으로 인해서 균이 뇌로 갔을때 치료가 어떻게 될까요? 뇌로 간 균이 항생제 치료가 가능한지 궁금합니다A
안녕하세요 쉽게 설명 드릴게요 뇌로는 잘 가지 않습니다 뇌염 뇌수막염 뇌농양등으로 갈수는 있습니다 중환자실에서 항생제 치료해보고 안되면 수술적 처치도 합니다 답변이 되셨다면 추천 쿡 눌러주세요 감사합니다 -
Q
아직 백신을 덜 맞은 영아가 모기에 물렸는데 뇌염이 걱정이 되요 괜찮을까요A
안녕하세요. 유소아기 예방 접종을 철저히 시행해야 하는 것 말고는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긴소매 옷을 입거나 방충망, 모기장을 사용하고 주기적인 방역을 통해 모기를 박멸해야 합니다. 일본 뇌염의 잠복 기간은 감염 모기에 물린 후 4~14일입니다. 일본 뇌염 바이러스를 가진 매개 모기에 물린 사람의 95%는 증상이 없으며, 간혹 열이 나기도 하고, 극히 드물게 뇌염으로 진행합니다. 초기에는 고열, 두통, 구토, 복통, 지각 이상을 나타납니다. 건승하세요. -
Q
아직 백신을 덜 맞은 영아가 모기에 물렸는데 뇌염이 걱정이 되요 괜찮을까요A
일단 백신 접종을 했다면 예방 효과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닙니다. 모기에 물렸다고 해서 뇌염을 전파하는 모기라고 보기도 어렵구요. 너무 염려하지 마시고 지켜보시기를 바랍니다.
기본 정보는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를 참고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