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비염은 비강을 덮고 있는 점막의 염증성 질환을 의미합니다. 비염의 증상은 코막힘, 콧물, 기침, 재채기, 후각 소실, 후비루 증후군 등이 있습니다. 비염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고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아서 임상 양상에 따라 급성, 만성, 위축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비염의 종류 중 하나인 만성 비염 역시 매우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크게 알레르기성과 비알레르기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원인
만성 비염은 원인에 따라 감염성과 비감염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만성 감염성 비염의 경우, 급성 비염(감기)이 완전히 치료되지 않아 반복적으로 발생하거나, 부비동염이나 반복적인 편도선 염증으로 인한 비염이 오래 지속되거나, 전신적인 영양 상태가 불량하여 발생할 수 있습니다. 비감염성 만성 비염은 자율신경계의 불균형, 호르몬 이상, 약물, 정서 불안, 비강 구조 이상 및 비강 종양에 의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증상
만성 비염에는 다양한 증상이 있습니다. 그중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증상은 만성 콧물이며, 이 밖에도 코막힘, 재채기, 가려움증 등이 나타납니다. 코막힘이 심하여 양쪽 코가 모두 막힌 경우에는 입으로 호흡하는 구호흡이 나타날 수 있으며, 비강의 분비물이 뒤쪽 콧구멍으로 흘러내리는 경우에는 후비루 증후군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염증이 지속되어 비점막의 신경이 노출되면서 발작성 재채기를 일으키기도 하며, 후각 소실이나 후각 감퇴가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치료
알레르기 비염과 비알레르기 비염 모두 비강 분무 스테로이드제와 경구 약물 치료, 식염수를 이용한 비강 세척으로 증상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 비염의 경우 원인이 되는 항원을 피하는 회피 요법과 알레르기 반응을 줄여주는 면역 요법도 도움이 됩니다. 내과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에는 비갑개 성형술이나 비갑개 부분절제술 등과 같은 수술적 요법을 시행합니다. 일반적인 예방법으로는 손을 깨끗이 씻는 것이 중요하며, 먼지, 피로나 스트레스, 급격한 온도 변화, 담배 연기나 매연 등의 비염 유발 요소를 피하는 것도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경과
만성 비염의 합병증으로 만성 비부비동염, 누낭염, 결막염, 중이염, 인후두염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관련 건강 콘텐츠
관련 건강 Q&A
-
Q
안녕하세요. 환절기마다 비염이 심해서 코가 헐정도로 콧물이 심하게 나고 코 안이 많이 붓는 듯한 느낌입니다. 특히 봄철에 꽃가루 때문에 비염이 더 심해지구요 ㅠㅠ 저번에 병원에 가니 선생님께서 비염의 이유가 한 가지만 있는 것이 아니어서 완치하는 것은 어렵고 비염을 유발하는 요인들을 잘 관리하고 평소 생활습관도 중요하다고 하셨거든요. 비염을 예방하는 차원의 관리방법 밖에 없는지 아니면 비염을 완치하는 수술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비용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A
치료를 위해서는 환경조절에 힘을 써서 원인물질과 접촉을 피하여 새로운 염증의 발생을 막고 기존의 염증은 약물로 치료하여야 합니다. 수술로는 알레르기비염의 염증을 치료할 수 없습니다. -
Q
비염이 심하면 집중력이 떨어질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A
네 비염이 심하면 집중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
Q
비염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A
안녕하세요. 비염의 치료에 대해 궁금하신 듯합니다. 알레르기 비염은 원인 물질에 노출이 되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한 치료입니다. 단, 원인 물질에 완전히 노출이 되지 않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므로, 항히스타민제, 항류코트리엔제, 비강 내 스테로이드제 등의 치료를 적절히 조합해서 알레르기 비염을 치료하게 됩니다. 혹시라도 증상이 심하거나 장기적일 경우에는 원인 물질에 대한 면역 요법을 계획해 볼 수 있습니다. 담당 의료진과 잘 상의하시길 권장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기본 정보는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를 참고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