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료과
- 내과
정의
성병은 성행위로 전파될 수 있는 모든 감염성 질환을 의미합니다. 좁은 의미의 성병은 직접적인 성교로 전염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사람 유두종 바이러스 감염, 에이즈, 임질, 매독, 연성하감, 서혜부 육아종, 성병성 림프 육아종 등이 있습니다. 넓은 의미의 성병은 직접 성교로 인한 것과 성적 접촉으로 인한 것을 모두 포함합니다. 이는 보균자나 환자와 같은 이불을 덮고 자거나, 키스 및 피부 접촉을 하는 등의 행동으로 인해 전염되는 병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비임균성 요도염, 음부 포진, 첨형 콘딜로마, 트리코모나스증, 칸디다증, 옴, 사면발이증 등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성병은 조기에 발견하면 완치할 수 있습니다. 성병으로 의심되는 증상이 나타나면 곧바로 의사에게 검진받아야 합니다. 이는 자신을 보호하고 타인과 사회를 건강하게 만드는 방법입니다.
주의사항
최선의 예방책은 성병 감염의 위험성이 있는 이성과의 성관계를 전적으로 피하는 것입니다. 가장 안전한 방법은 오랫동안 관계를 유지한 사람과 지속적인 성접촉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새로운 파트너와 성교를 하는 경우, 가능하다면 밝은 곳에서 감염 부위를 관찰하고, 남성은 콘돔을, 여성은 페미돔과 살정제를 사용합니다. 성교가 끝난 후 즉시 성기 부위를 씻는 것이 좋습니다.
성기를 자주 관찰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가려움증이나 악취가 느껴지는지, 성기의 분비물 및 포진이 있는지, 다른 증상이 나타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음경, 질, 항문, 구강 등에 종창, 종양, 분비물이 관찰되면 즉시 의사를 찾아가야 합니다. 성병 감염이 의심되면, 신속하게 검진을 받고 치료하며 곧바로 상대방에게 그 사실을 알려야 합니다. 상대의 감염 여부가 의심스럽다면 사실을 알려달라고 요청해야 합니다. 성병으로 진단받으면 성교한 상대방도 함께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이를 통해 불임, 성 기능 문제, 합병증 등 성병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후유증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관련 건강 Q&A
-
Q
헤르페스2형 바이러스 설명좀해주세요A
HSV 2 는 성병입니다. 성관계시 콘돔이 필수 입니다. 이미 감염되면 치료는 없습니다. 답변이 되셨다면 추천 쿡 눌러 주세요 감사합니다. -
Q
회음봉선 부근에 초기 첨형 콘딜로마 진단을 받았습니다 의사 선생님께서 STD12종 균 검사만 하시고 HPV 검사를 따로 하지 않았는데, 검사가 필요할까요? 필요하다면 HPV검사는 보통 어떻게 이루어질까요? 제가 찾아본 결과 회음봉선에 생기는 첨형 콘딜로마(편평 사마귀 아님)는 주로 HPV6, HPV11이라고 하는데 다른 번호에서 곤지름이 발생할 수 있나요?A
다른 HPV type에서도 콘딜로마는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HPV type을 검사하여도 치료방법은 동일 합니다. HPV type을 아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고 치료가 중요합니다. 치료는 어렵지 않으며 바르는 연고나 레이저 치료 등으로 콘딜로마(곤지름) 치료가 가능하며 드물게 재발할 수 있습니다. 치료후 최소한 한 달 이상 재발이 없을 때 까지 성관계를 하지 말고 완치 판정을 받을 때 까지 산부인과에서 추적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Q
회음봉선 부근에 초기 첨형 콘딜로마 진단을 받았습니다 의사 선생님께서 STD12종 균 검사만 하시고 HPV 검사를 따로 하지 않았는데, 검사가 필요할까요? 필요하다면 HPV검사는 보통 어떻게 이루어질까요? 제가 찾아본 결과 회음봉선에 생기는 첨형 콘딜로마(편평 사마귀 아님)는 주로 HPV6, HPV11이라고 하는데 다른 번호에서 곤지름이 발생할 수 있나요?A
HPV 6번과 11번 인유두종 바이러스는 질과 외음부, 자궁 경부, 음경에 변화를 초래하여 암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저위험 유형은 첨형 콘딜로마나 곤지름 같은 생식기 사마귀를 유발하는데 DNA 검사상 HPV 6번과 11번 유형이 발견됩니다.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은 바이러스 DNA 검사, 자궁경부 세포 검사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본 정보는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를 참고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