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원인
쇄골 골절은 대개 낙상이나 그 외의 직접적인 충격으로 발생합니다. 쇄골 골절은 팔을 곧게 뻗은 채로 손을 짚으면서 넘어지거나, 자동차 충돌 사고 시 운전대에 가슴 부위가 부딪히면서 발생하기도 합니다. 영아는 출산 중 발생한 손상으로 인해 쇄골이 골절되기도 합니다.
증상
절골절 부위에 덩어리가 있는 것처럼 보이고, 어깨 앞부분의 피부 아래가 뾰족하게 튀어나옵니다. 드물게 골절된 부분의 뼈가 피부 바깥으로 뚫고 나와 외부에 노출되기도 합니다. 쇄골 부위의 통증, 부종, 압통이 나타납니다. 어깨와 팔을 움직일 때 통증이 발생합니다. 골절 부위가 심하여 상완신경총, 쇄골하 혈관이 눌리면서 팔의 신경마비나 혈액 순환의 장애가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진단
쇄골 골절로 인해 신경, 혈관이 손상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손목, 팔꿈치 등의 맥박과 손, 손가락, 팔의 감각 및 운동 기능을 확인합니다. 쇄골 손상이 의심되면, 단순 방사선 검사를 통해 진단합니다.
치료
쇄골 골절은 대부분 특별한 교정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팔자 붕대를 이용해 어깨 주위를 감아서 골절 부위가 안정되도록 고정합니다. 대개 소아는 3~4주, 성인은 6~8주 정도 고정합니다. 이후 어깨 관절의 운동 범위 및 강도를 회복시켜주는 재활 치료를 진행합니다. 골절 부위가 불안정하여 유합이 이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경우, 개방성 골절, 신경 및 혈관 손상이 동반된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수술에서는 골절 부위를 고정하기 위해 금속 핀, 나사, 금속판 등을 사용합니다.
경과
쇄골 골절은 대부분 6개월 내에 완전하게 유합됩니다. 골절 부위가 골 유합 후에도 툭 튀어나와 보일 수 있습니다. 어린 환자의 경우에는 시간이 지나면서 튀어나온 정도가 줄어듭니다.
관련 건강 Q&A
-
Q
쇄골에 금이 갔었는데 놀이기구를 타도 되나요?A
골절부위가 다 나았다면 타셔도 됩니다 아직 골절부위가 불안정하다면 안타시는게 좋습니다 -
Q
쇄골에 금이 갔었는데 놀이기구를 타도 되나요?A
놀이기구를 타시면 안됩니다, -
Q
쇄골에 금이 갔었는데 놀이기구를 타도 되나요?A
금이 간 쇄골은 치료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놀이기구를 타면 금에 의한 부작용이 심화될 수 있으므로 권장하지 않습니다. 먼저 의사와 상담하여 치료 계획을 수립하고, 의사의 안내에 따라 치료를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금에 따른 통증 등이 심하다면,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의사의 처방에 따라 통증 완화제나 항염제를 복용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기본 정보는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를 참고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