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심실 빈맥은 심실에서 전기적인 이상이 발생하여 심장이 병적으로 빨리 뛰는 상태를 말합니다. 심실 박동은 정상적으로 분당 70~80회 뜁니다. 심실 빈맥의 경우 심실 박동이 분당 120회 이상 뛰어서 몸 전체로 충분한 혈액을 보낼 수 없습니다.
원인
심실에 구조적 심장 장애가 있어서 발생합니다. 과거에 심근경색, 심근염, 심근병증, 심장 판막 질환이 있었거나, 산혈증, 저칼륨혈증, 저마그네슘혈증이 있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때로는 심장 구조에 이상이 없는 젊은 사람에게도 생길 수 있습니다.
증상
가슴 두근거림(심계항진)을 느낍니다. 호흡 곤란, 실신 등의 증상을 느낍니다. 심실 세동으로 진행하여 심장마비가 오기도 합니다.
진단
심실 빈맥은 심전도 검사와 24시간 심전도를 기록하는 홀터 검사로 알 수 있습니다.
치료
① 일반적인 치료 방법
심실 빈맥으로 인해 혈압이 떨어지고 쇼크 상태가 오는 등 심한 증상이 나타나면 심장에 전기 쇼크를 주어서 빈맥을 즉시 멈추어야 합니다. 비교적 증상이 가벼운 급성기 빈맥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항부정맥 약물을 정맥으로 투여하거나, 심장 안이나 식도에 전극 도자를 넣어 심장에 전기 자극을 주어서 빈맥을 정지시킵니다.
② 재발 방지 치료 방법
심실 빈맥의 재발을 방지하는 치료법으로는 약물 치료, 도관을 이용한 절제술(고주파 전극 도자 절제술, Radiofrequency catheter ablation), 수술 등이 있습니다.
약물 치료의 경우 대개 평생 항부정맥약을 복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도관을 이용한 치료나 수술은 성공적으로 시행되면 평생 약을 복용하지 않아도 완쾌할 수 있습니다. 성인에게는 이러한 치료법을 보편적으로 사용합니다. 최근에는 소아에게도 심도자를 이용한 절제술이 이용되어 좋은 결과를 얻고 있습니다.
도관을 이용한 절제술(고주파 전극 도자 절제술)의 시행 방법을 살펴보면, 우선 심도자 검사와 같은 방법으로 심장 내에 여러 개의 전극 도자를 넣어 빈맥의 원인이 되는 부전도로(accerssory pathway)나 우회로(bypass tract)의 위치를 정확하게 찾아냅니다. 다음으로 전극 도자를 통해서 고주파 전류(radiofrequency energy)를 흘려서 그 자리에 열이 발생하도록 합니다. 이로써 빈맥의 원인이 되는 병소를 완전히 제거하여 완치할 수 있습니다. 전극 도자를 이용한 이러한 치료법은 이러한 시술에 숙달된 전문가가 있는 심장센터에서만 시행할 수 있습니다. 드물게는 도관을 이용한 절제술로도 빈맥이 자주 재발하는데, 이 경우 수술을 시행합니다.
③ 심실성 빈맥증 발생 시 치료 방법
심실에서 빈맥이 발생하는 심실성 빈맥증은 급사할 위험성이 큰 부정맥일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심실성 부정맥으로 진단되면 전문의와 상의하여 철저하게 치료받아야 합니다.
비교적 젊고 심장에 구조적인 이상이 없는 사람에게 나타나는 양성 심실성 부정맥은 예후가 비교적 양호합니다. 약물 치료나 전극 도자 절제술을 이용해 완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심장에 구조적인 이상이 있는 사람에게 나타나는 심실성 빈맥증은 발작 시에 혈압이 떨어지고 의식을 잃을 수 있습니다. 심하면 심실 세동과 심정지로 이어져 사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심실성 빈맥증이 나타나면 즉시 응급치료를 받아야 하며, 발생 원인을 정확하게 찾아내어 원인 질환을 치료해야 합니다.
관련 건강 Q&A
-
Q
빈맥성 부정맥이 있어서 이식혁 사건기록기 시술 예정인데 빈맥성 부정맥을 진단 받았는데 이식형 제세동기 시술이 아닌 이식형 사건 기록기 시술을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이식형 사건기록기를 삽입하고도 심장병이 문제가 되면 교수님도 그때는 삽입형 제세동기 사술을 하자고 했는데 바로 제세동기 시술을 하지 않는 이유가 있을까요?A
안녕하세요 인공심박동기는 심장이 정상보다 느리게 뛰는 서맥성부정맥 치료에 적용되는데, 전기신호를 인공적으로 만들어줌으로써 정상 맥박을 유지시키는 것입니다. 자동제세동기 삽입은 부정맥으로 급성 심정지가 발생한 경우 등 돌연사 위험이 높은 환자들에게 시행되는데, 심장에 신속하게 전기충격을 전달해 정상적인 심장박동을 되찾을 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아마 빈맥성 부정맥이라고 할지라도, 그 사이에 심장이 정상보다 느리게 뛰는 이벤트가 더 많다면은 인공심박동기를 삽입하기도 하는데, 구체적인 상황을 확인해 봐야 할 것 같습니다. 건승하세요 -
Q
이식형 모니터링 심박동기( Implantable loop recorder)와 ICD는 다른건가요? 제가 11월 30일날 이식형 모니터링 심박동기 삽입술을 받는데 조그만한 직사각형의 기계/ 어떤 점 이 다른가요? ICD 시술을 받고 싶은데 가능한가요? 빈맥성 부정맥/(혈관)미주신경성 실신/기립성빈맥 증후군/뇌전증A
안녕하세요. #요약 1. 인공 심박동기는 - 서맥환자한테 삽입하는 장치이며, 2. 제세동기(ICD)는 - 빈맥이나 세동이 있을때 삽입하는 장치입니다. 3. 담당 병원에서 상담 후 확인해 봐야할 문제입니다. 인공 심박동기는 심장에서 전기자극을 잘 만들어내지 못하거나 잘 전도되지 않아서 맥박이 매우 느려진 병적인 서맥 환자에 대하여 심장이 정상적으로 뛰도록 해주는 기계 장치입니다. 그리고 삽입형 제세동기는 급사의 많은 원인은 심실빈맥이나 심실세동이며, 흔히 알려진 심장마비가 바로 이 질환들입니다. 특히 과거에 심근경색을 앓았거나, 심근증, 심부전 등의 심장병이 있는 경우에 드물지 않게 생기지만, 드물게는 심장병이나 전조증상 없이 심장마비가 오기도 하는데, 이러한 경우에 삽입형 제세동기를 체내에 삽입하게 됩니다. 건승하세요. -
Q
제가 군입대를 하고 나서 부터 상세불명의 통증과 실신을 반복 하였는데 빈맥성 부정맥/기립성빈맥 증후군/미주신경성 실신/뇌전증 상기 4가지 질환을 진단 받고 11/30일날 ICD 기계 삽입 시술이 예정 되어있습니다. 그런데 빈맥성 부정맥에는 ICD 말고 심박동기를 삽입 하는걸로 알고 있는데 그 수술은 제가 아직 나이가 19살이라 젊은 나이에 하기에는 위험힌 수술이라고 하시던데 쨋든 빈맥성 부정맥이 있고 심박동기 시술을 할 정도애 몸상태이면 할 수 있는거 아닌가요? 어떤 수술을 받아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ㅠㅠA
안녕하세요. #요약 1. 인공 심박동기는 - 서맥환자한테 삽입하는 장치이며, 2. 제세동기(ICD)는 - 빈맥이나 세동이 있을때 삽입하는 장치입니다. 3. 빈맥성 부정맥이 있으면 ICD 기계 삽입하는게 맞습니다. 인공 심박동기는 심장에서 전기자극을 잘 만들어내지 못하거나 잘 전도되지 않아서 맥박이 매우 느려진 병적인 서맥 환자에 대하여 심장이 정상적으로 뛰도록 해주는 기계 장치입니다. 그리고 삽입형 제세동기는 급사의 많은 원인은 심실빈맥이나 심실세동이며, 흔히 알려진 심장마비가 바로 이 질환들입니다. 특히 과거에 심근경색을 앓았거나, 심근증, 심부전 등의 심장병이 있는 경우에 드물지 않게 생기지만, 드물게는 심장병이나 전조증상 없이 심장마비가 오기도 하는데, 이러한 경우에 삽입형 제세동기를 체내에 삽입하게 됩니다. 건승하세요.
기본 정보는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를 참고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