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원인
요로 감염의 원인균 중 85%가 대장균입니다. 감염 경로 중에는 요도로부터 방광으로 올라가는 상행성 감염이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여성에게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요로 감염은 해부학적 이상이나 기능적 이상이 없어도 발생합니다. 비뇨기계 관련 수술이나 기계적 조작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증상
요로 감염의 증상은 감염 부위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상부 요로 감염인 신우신염의 경우에는 발열, 오한, 옆구리 통증, 배뇨통, 빈뇨, 야간뇨, 절박뇨, 오심, 구토가 나타납니다. 반면, 하부 요로 감염인 방광염은 배뇨통, 빈뇨, 절박뇨 등 배뇨 이상 증상만 나타납니다.
요도염의 잠복기는 3~10일이며, 길게는 3주까지 나타납니다. 요도 분비물, 배뇨통, 요도 가려움증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때로는 증상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진단
요로 감염은 환자의 임상 증상을 판단하고 소변 검사, 소변 배양 검사를 시행하여 진단합니다.
치료
요로 감염 초기에는 항생제를 사용합니다. 세균의 항생제 감수성에 따라 적합한 항생제를 선택합니다. 단순 신우신염의 경우, 1~2주간 항생제를 통해 치료하며, 필요시 항생제 주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때로는 항생제 치료를 하더라도 증상이 좋아지지 않습니다. 이 경우 비뇨생식기계에 다른 이상이 있는지 추가 검사(신장 초음파, CT 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경과
요로 감염은 항생제 치료로 호전됩니다. 신장 농양이나 요로 폐쇄가 동반된 경우 치료 기간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반복적인 요로 감염은 해부학적, 기능적인 비뇨기계의 이상 없이도 잘못된 생활습관으로 인해 생길 수 있습니다. 요로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수분을 많이 섭취하고, 성교 후 바로 소변을 보고, 용변 후 앞에서 뒤로 닦는 등 생활습관을 바꾸어야 합니다.
관련 건강 콘텐츠
관련 건강 Q&A
-
Q
소변을 자주보면 어느과를 가야하나요?A
소변이 비교적 최근 일주일 내에 자주 보는경우는 요로감염을 가장 의심해야 되고 그외에 당뇨나 갑상선등의 내과적 질환이 있습니다. 일단 내과를 먼저 방문하시어 기본적인 혈액검사와 함께 소변검사를 해보시면 됩니다. -
Q
소변줄을 꽂는 이유가 먼가요A
폴리카테터라고 하는 소변줄은 환자 본인이 소변을 잘 볼수 없거나 입원해서 소변양을 측정해야 되는 경우 수술을 앞둔 경우 방광등의 요로감염이 심해 배출을 시켜줘야 하는 경우 등이 있습니다. -
Q
요로감염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A
안녕하세요. 요로감염의 치료에 대해 궁금하신 듯합니다. 요로감염의 원인으로 추정되는 세균에 알맞은 항생제 치료가 우선이며, 염증의 범위, 합병증 여부에 따라 항생제 투여 기간이 결정됩니다. 의료진의 판단에 따라 초음파, CT 등의 영상 검사가 진행될 수 있습니다. 궁금증 해소에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기본 정보는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를 참고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