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원인
자궁탈출증은 자궁을 지지해 주는 인대의 접착부인 질 윗부분이 잘 지지되지 않아서 발생합니다. 골반 지지 구조물의 약화로 인해 자궁 이외에도 직장, 소장, 방광 등이 질벽을 통해 탈출할 수 있습니다. 노년이나 비만한 여성, 출산을 많이 한 여성, 분만 시 난산을 하였거나 이로 인해 골반 근육이 약한 여성, 천식과 같은 질환으로 기침을 자꾸 하는 환자, 만성 변비 환자에게서 발생하기 쉽습니다. 무거운 물건을 자주 들거나, 쪼그려 앉아서 오래 일을 하는 등의 행동은 자궁 탈출의 가능성을 증가시킵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가족력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가족력이 있는 사람은 조심해야 합니다.
증상
본인이 자궁이 빠진 것을 느끼는 것 이외에 다른 증상이 없는 경우도 많습니다. 아래가 묵직한 느낌, 압박감 등을 느끼면 소변을 볼 때 불편합니다. 요실금, 요로가 좁아지거나 막혀서 소변이 나오지 않는 요폐색, 하루 8번 이상 자주 소변을 보는 빈뇨 등이 나타납니다. 또 변비나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누워 있는 자세에서 증상이 완화되고, 오후 시간에 오랫동안 서 있으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악화되는 경향을 보입니다.
진단
부인과 진찰을 통해 탈출된 자궁을 촉지하면서 어느 부분이 주로 나와 있는지 확인합니다. 요실금이 동반된 경우라면 요실금에 대한 검사를 함께 할 수도 있습니다.
치료
환자 본인이 불편하지 않으면 치료를 서두를 이유가 없습니다. 본인이 많이 불편해지면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비수술적 치료로는 골반저근 강화 운동(케겔 운동)과 같은 물리 요법과 페서리 삽입이 있습니다. 페서리(pessary)란 질 안에 넣어 자궁이 밖으로 나오지 않도록 막거나 질을 지지하도록 하는 기구입니다.
수술적 치료로는 질을 통해 자궁을 들어내고, 질벽의 앞과 뒤를 좁히는 외과적 수술이 있습니다. 성생활을 하지 않는 고령의 여성은 질 폐쇄술을 할 수도 있습니다. 최근에는 메쉬라는 합성 소재의 그물을 이용하여 수술할 수 있습니다.
경과
자궁탈출증 환자는 배뇨 이상과 관련된 증상이 동반됩니다. 요실금, 요로가 좁아지거나 막혀서 소변이 나오지 않는 요폐색, 하루 8번 이상 자주 소변을 보는 빈뇨 등을 호소할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자궁 탈출 시 질벽과 자궁 경부가 질 입구 밖으로 노출되어 비위생적인 환경에 노출될 수 있고, 그로 인해 감염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또한 자궁이나 질 탈출은 진행하는 병이고 수술을 해도 재발할 수 있는 병입니다. 최대한으로 아래로 힘이 가해지는 행동을 하지 않도록 노력하고, 골반저근 강화 운동을 하면 질병의 진행이나 수술 후 재발을 지연할 수 있습니다.
관련 건강 Q&A
-
Q
자궁적출 하면 부작용이 몰까요?A
안녕하세요 #요약 1. 수술폐경 2. 요실금, 자궁탈출증 3. etc 난소를 보존하는 경우에도 자궁적출 환자는 폐경이 일반인보다 평균 3.7년 정도 빠르게 발생하고 남아 있는 난소의 기능도 크게 저하됩니다. 자궁적출로 난소로 가는 혈액공급도 중단되고 난소와 자궁 사이 상호작용이 없어지기 때문입니다. 수술 폐경은 동맥경화, 뇌졸중, 심혈관계 질환 등 만성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키고 골다공증, 골절 등의 위험도 증가하게 됩니다. 그리고, 자궁적출수술 이후 요실금과 자궁탈출증의 발생률은 수술을 받지 않은 사람에 비해 2배 이상으로 높아집니다. 방광, 자궁, 질이 서로 맞닿아 있다가 자궁이 없어지니 균형이 깨지게 되는 것입니다. 자궁적출수술로 내장손상, 요관장애, 천공, 이차출혈, 패혈증, 심근경색, 정맥 혈전증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건승하세요 -
Q
자궁적출 하면 부작용이 몰까요?A
요실금, 골반장기탈출증, 장 유착 등의 직접적인 부작용 자궁적출수술을 하게 되면 요실금과 골반장기탈출증의 부작용이 있습니다. 자궁적출수술 이후 요실금과 자궁탈출증의 발생률은 수술을 받지 않은 사람에 비해 2배 이상으로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Q
20대 여자이고요 궁금해서요 탈장이되면 자궁과 생리는 어떻게 되나요?A
안녕하세요 탈장의 가장 흔한 형태가 사타구니 부위에 생기는 서혜부 탈장입니다. 배밖으로 뚫고 나오는 개념이 아니라, 피부 밑에 어딘가에서 불룩하게 나오게 됩니다. 이건 남녀노소 상관없이 자궁없는 사람도 생기니까 자궁이랑 상관없고, 생리 안 하는 사람한테도 생기니까 생리랑도 큰 상관은 없습니다. 자궁탈출증은 자궁이 정상 위치에서 아래쪽 또는 위쪽으로 이동하면서 자궁의 일부 혹은 전체가 질을 통해 빠져나오는 것입니다. 자궁탈출증을 탈장으로 물어본건 아니죠? 자궁이 탈출되어도 폐경된 상태가 아니면 생리를 합니다. 자궁이 탈출했지 난소가 탈출한 것은 아니니까 근데 주로 40대 이후부터 발생하기 시작하며 대부분 폐경기 이후 50대 이후에서 골반 근육 저하와 노화현상이 일어나는 60대 전후로 제일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 건승하세요
기본 정보는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를 참고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