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원인
장염전은 선천적으로 장간막이 비정상적으로 길어서 장관의 이동성이 큰 경우에 주로 발생합니다. 복막염이나 수술 후에 복강 장기에 유착이 생긴 경우, 변비, 연동 항진 등의 이유로 발생하기도 합니다. 그 외 선천성 횡격막 탈장, 위식도 역류, 소장 폐쇄, 거대 결장, 장중첩증, 게실, 위장에 생긴 선천성 기형 등의 질병이 있을 때 이와 동시에 발생하기도 합니다.
증상
장염전의 주요 증상은 갑작스러운 복통입니다. 초기에는 주기적인 동통이 있다가 점차 지속되는 복통으로 변합니다. 오심, 구토, 혈변, 복부 팽만, 탈수, 변비, 장폐색 등의 증상이 급성 또는 재발성으로 올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 쇼크가 옵니다. 신생아는 복부의 변색, 창백하고 불규칙한 호흡, 황달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진단
장염전은 증상만으로는 확인할 수 없습니다. 복부 X-ray상 염전된 장 내부의 다량의 가스 소견이 보일 수 있으나 다른 원인과 구분하기 어렵습니다. CT 검사로 보다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습니다.
치료
장염전의 표준 치료법은 수술입니다. 복막염 징후가 있거나 혈변이 있는 소아의 경우 즉각 수술해야 합니다. 장이 괴사된 경우 장의 일부를 절제하기도 합니다. 응급 수술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수술을 기다리는 동안 비위관 삽입, 수액 투여, 결장 내시경을 통한 감압 등을 시행합니다.
경과
장염전이 진행되어 괴사가 일어나면 장 천공의 위험성이 있습니다. 장 천공은 복막과 혈액으로 독성 물질이 흘러 들어가 쇼크와 사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관련 건강 Q&A
-
Q
장염에 걸렸는데 쇠고기죽을 장염 일때 먹어도 되나요? 먼가 먹어야는 할 것 같아서요A
네 먹어도 됩니다. 대신 소고기를 잘게 절단내어 소화 하기 쉽게 먹는 것을 추천합니다. -
Q
장염에 걸렸는데 소변에서 피가 보여요 장염이면 혈뇨가 나올수 있나요? 별개의 문제인가요?A
장염은 대장이고 혈뇨는 방광입니다. 서로 다른 곳에서 나오는 것이라서 다른 질환이라고 봐야 합니다. -
Q
장염에 걸렸는데 소변에서 피가 보여요 장염이면 혈뇨가 나올수 있나요? 별개의 문제인가요?A
소변이 나오는 통로와 장염이 생기는 위치는 서로 별개의 기관이기 때문에 장염과 혈뇨는 서로 연관성이 없는 현상입니다. 소변색이 붉어진 이유가 실제 혈뇨인지 여부를 인근 비뇨의학과에 방문하셔서 확인해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기본 정보는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를 참고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