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원인
지역사회성 폐렴의 가장 흔한 원인균은 폐렴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입니다. 이는 지역사회 폐렴의 1/3을 차지합니다. 기저질환에 따라 다양한 균이 폐렴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마이코플라즈마(Mycoplasma)균의 경우 청소년과 젊은 성인에게 영향을 미칩니다. 이는 이 폐렴의 6~9% 정도를 차지합니다.
증상
2세 미만의 어린이, 노인, 기타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 등 위험 요인이 있는 사람은 폐렴에 걸릴 위험성이 증가합니다. 감기 등 가벼운 상기도 감염 증세에 대해 일상적인 치료를 계속했음에도 증상이 악화되거나 기침 가래, 호흡 곤란, 흉통, 갑작스러운 전신 약화 증상 등이 나타난다면, 병원을 방문하여 폐렴에 대하여 검사해야 합니다.
진단
발열, 기침, 가래 등과 같은 전형적인 증상의 확인, 청진 시 수포음, 흉부 방사선 사진을 통해 폐렴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원인균을 확인하기 위하여 가래 검사, 혈액 검사, 소변 검사 등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치료
질병의 중증도에 따라 입원 여부와 항생제 종류를 결정합니다. 일반적으로 7~10일 정도 항생제를 사용합니다.
경과
노인은 고위험군에 속합니다. 노인은 폐렴이 진행되면 패혈증이나 쇼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폐의 부분적인 합병증으로 기류, 기흉, 폐농양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모든 폐렴 환자에게 합병증이 동반되는 것은 아니지만, 주의 깊게 관찰하고 꾸준히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의사항
적절한 수분 섭취와 균형이 잡힌 식사가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손 씻기 등의 위생 관리에 신경을 쓰는 것도 감염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소아 및 65세 이상의 노인은 매년 독감 예방접종을 맞는 것이 좋습니다.
관련 건강 콘텐츠
관련 건강 Q&A
-
Q
폐렴으로 7일입원하여 3가지의 항생제링거치료를받다가 퇴원하여 2가지의항생제를 7일간복용하라고합니다 입원때도 세가지의항생제를썼는데 퇴원후에도 2가지나 복용하라니...항생제 한꺼번에 너무많은종류를 복용하는게아닌지요? 처방받은것은 세파계열과 퀴놀론계입니다 7일동안 3가지의항생제링거치료후 퇴원후 두개의항생제를같이 7일먹어도괜찮나요? 다른사람들보면 폐렴에 한개의항생제만먹던데요A
입원을 요하는 심한 폐렴의 경우 3종류의 항생제를 사용합니다! 세파와 퀴노론의 조합이 경구용으로 사용하는 대표적인 항생제입니다 -
Q
고령자 폐렴인 경우에는 입원이 일반적일까요? 반드시 입원치료를 하는게 맞는 건가요?A
아닙니다. 기저 질환이 없으면서 단순히 기침만 하는 것은 입원치료가 필요없습니다.
관련 후다닥TV
기본 정보는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를 참고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