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포경은 포피를 젖힐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귀두를 덮고 있는 피부를 말하는 귀두 꺼풀(포피)을 포경으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모든 남성은 선천적으로 포경 상태로 태어납니다. 출생 시 신생아의 포피와 귀두의 피부는 서로 붙어 있습니다. 성장하면서 자연적으로 포피와 귀두의 피부는 분리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신생아는 귀두와 포피가 붙어 뒤로 당겨지지 않는 것이 정상입니다. 원래는 포피가 뒤로 잘 밀려나서 귀두 부위가 쉽게 노출됩니다. 하지만 포경은 다른 피부의 흉터와 비슷한 섬유 조직인 좁은 ‘꺼풀 고리’가 형성되어 노출되지 않는 상태가 된 것을 말합니다.
강제로 포피를 귀두에서 분리하면 귀두 피부 조직의 자연적인 탈락 현상을 방해하여 흉터성 꺼풀 고리가 형성될 수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지속적인 포경 상태는 위생 상태의 불결함을 초래하며, 아울러 당뇨병 등이 있을 때 감염 위험을 높이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원인
포경을 유발하는 특별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증상
포경의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귀두 꺼풀(포피)의 붓기, 발적, 통증 및 화농성 분비물이 발생합니다. 이는 ‘귀두 포피염’으로 알려져 있으며, 염증 관련 증상입니다.
② 소변이 가늘게 나올 수 있습니다.
진단
포경은 신체 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습니다.
치료
포경은 다음과 같은 치료 방법을 통해 치료합니다.
① 감염이 있으면 경구용 항생제를 복용합니다.
② 고름이 심하게 나오면 포피를 절개하여 빼주거나 들러붙은 포피를 떼주기도 합니다.
③ 비누와 따뜻한 물로 하루 2~3회 깨끗이 씻고, 귀두와 포피의 내면을 건조하게 유지합니다. 심하지 않은 경우 항생제 연고를 국소적으로 바르도록 합니다.
④ 감염이 재발하는 경우에는 음경 꺼풀 절제술(포경수술)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포경 수술은 피부와 포피를 적당하게 절개하여 제거함으로써 감춰진 귀두부를 드러내는 수술입니다. 포경 수술을 반드시 해야 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포피가 너무 꽉 조이는 진성 포경, 재발성의 귀두 포피염, 포피가 뒤로 젖혀져 링처럼 음경을 꽉 조이는 감돈 포경이 그것입니다.
관련 건강 Q&A
-
Q
초등5학년 아들이 소변을 보면 자꾸 쉬가 나온다는데 잔뇨감 때문인지? 아님 포경수술을 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A
2주이상 지속시 비뇨의학과 진료를 받으시는게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
Q
포경 수술 9일찬데 버스 타서 영화관 가서 영화 보고 와도 괜찮나요?A
네 보셔도 괜찮습니다. -
Q
안녕하세요 13살 남아 2월 17일날 포경수술을 했습니다 잔뇨감, 염증이 자주 발생하여 포경수술을 했는데 한쪽 귀두부분이 유착되어 포경이랑 같이 살을 뗐는데 20일 월요일 소독 후 아이가 너무 아파합니다 수술 끝나고 다음날 확인 후 염증도 없고 깨끗하다고 했는데요 월요일 소독하고부터 아파해요 화요일 가니 염증이 생겼다고해서 매일 소독하러 가고 있구요 수요일부터는 열이 38.2도 오르고 지금도 열이 나고 있어요 그리고 수술한 부위 밑에도 붓고 있어요 의사는 밑이 붓는거랑 열나는거는 첨본다라고 해서 저도 당황스럽습니다 어떻게 해야 하는지요? 다른 병원을 가봐야 하는지 궁금합니다A
일반적으로 음경의 연조직염으로 전신에 열이 나는 경우는 드뭅니다. 열에 대해서는 소아청소년과에 진료를 받으시면 좋을것 같네요
기본 정보는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를 참고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