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

[웹진] 비만에 대해 함께 알아봅시다! - 카드뉴스 브이로그 10부

진료과목 : 내과 , 가정의학과


external_image

비만은 지방이 정상보다 더 많이 축적된

상태를 말합니다.

비만은 체내 지방량을 측정하여

평가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그러나 체내 지방량을 정확히 측정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시행하기가 어려워

간접적으로 평가하게 되는데,

그 중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를

이용하는 것과 허리둘레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external_image

체질량지수를 통한 비만의 정의

(1) 체질량지수(BMI)

: 몸무게(kg)를 키의 제곱(m)으로

나눈 값입니다.

(예 : 신장 170cm, 체중 70kg인

사람의 체질량지수는

24.2 (=70kg/(1.7m)x(1.7m))

(2) 우리나라의 비만 기준

: 성인 비만의 기준은

체질량지수 25kg/m2 이상입니다.

비만은 체질량지수 25.0~29.9kg/m2를

1단계 비만,

30.0~34.9kg/m2를

2단계 비만

그리고 35.0kg/m2 이상을

3단계 비만(고도비만)으로 구분합니다.

external_image

복부비만 진단법

국내에선 복부비만을 허리둘레를

측정하여 진단합니다. 허리둘레를

기준으로 남성은 90cm,

여성은 85cm 이상일 때

복부비만으로 정의합니다.

허리둘레는 양발 간격을 25~30cm 정도

벌리고 서서 숨을 편안히 내쉰 상태에서

줄자를 이용해 측정합니다.

측정 위치는 옆구리에서 갈비뼈

가장 아랫부분과 골반 가장 윗부분의

중간에서 측정합니다.

external_image

복부비만 진단법

체질량지수(BMI)를 기준으로 한 유병률

우리나라 성인의 비만 유병률은

2017년 34.1%이며,

2005년부터 30%를 초과한 이후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남성의 경우 2017년 41.6%이며,

1998년 이후 지속해서 증가하여

2016년부터 40%를 초과하였고,

여성의 경우 2017년 25.6%이며,

1998년 이후 23~28%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external_image

비만의 국내 유병률

비만 2단계와 비만 3단계(고도비만)의 경우, 유병률 자체는 서구에 비해 높지는 않지만, 지속적이고 뚜렷하게

남녀 모두에서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 양상은 세계에서

비만 인구가 가장 많은 국가 중 하나인

미국에서 과거에 보였던

변화 양상과 유사합니다.

external_image

비만의 국내 유병률

복부비만은 남성에서는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여성에서는 전반적인 큰 변화는

없었으나 최근 들어 소폭의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비만 유병률의 변화와

비슷한 양상을 보입니다.

external_image



연관 질환백과 바로가기

후다닥 건강 알림

알럿창 내용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