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진

[웹진] 흡연과 만성부비동염

진료과목 : 내과 , 이비인후과 , 가정의학과

후다닥 꿀팁 

흡연은 만성부비동염의 증상을 악화시킬 뿐만 아니라 치료 효과를 약화시킬 있으므로 금연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성부비동염은 우리가 흔히축농증이라고 부르는 질병입니다. 얼굴에는 코를 중심으로 주변에 부비동이라고 하는 콧구멍과 연결된 공간이 여러 있는데, 말을 소리가 울리는 역할과 머리뼈 속에 있는 뇌를 외부의 직접적인 충격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부비동 안쪽 면은 코의 점막과 같은 점막으로 덮여 있는데 점막에서 만들어낸 점액 성분이 콧속 공간(비강)으로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으면 부비동 안쪽으로 염증이 생기고, 분비물이 고여 축농증 부비동염이 발생합니다. 보통 12(3 개월) 이상 지속되는 부비동염을 만성 부비동염이라고 합니다. 만성 부비동염은 주변으로 통증, 뜨거운 열감, 고름처럼 흐르는 누런 콧물이 증상으로 나타날 있고, 고약한 냄새가 수도 있습니다. 콧속을 덮고 있는 점막에까지 염증이 전해지면 코점막에 있던 후각 신경이 염증에 의해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고, 이런 증상이 오래 지속되면 냄새 맡는 기능을 아예 잃게 되어 만성적인 후각 손상을 얻게 됩니다.

 담배 연기에 포함된 유해 물질은 후각을 마비시키고 콧속 미세 섬모의 섬모운동을 방해하여 콧속으로 공기 중의 나쁜 물질을 통과시킵니다. 결과 콧속의 위생 상태가 저하되며 세균증식 등으로 인해 부비동염이 악화됩니다.

 최근 7 북유럽 지역에서 수행된 10 추적관찰 전향연구(RHINE study) 결과, 흡연자의 30.7%에서 10 비감염성 부비동염이 발생하여 흡연이 비감염성 부비동염 발병과 유의한 상관성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흡연이 관련 질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국내 연구 결과에서도 40 이상 성인에서 흡연이 만성부비동염을 1.4 증가시키고 흡연으로 인한 만성부비동염 발병이 매년 1.5%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후다닥 Reference

만성 부비동염. 가정의학 개정4. 2013, p1354-1358.

Benninger MS,et al. Am J Rhinol. 1999;13:435-8

Tammemagi, C.M. et al. April 2010; 136:327-334.

Effects of cigarette smoking on rhinologic diseases: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1. International Forum of Allergy & Rhinology. 2015 Oct;5(10):937-43.


WPA2302MF04

연관 질환백과 바로가기

후다닥 건강 알림

알럿창 내용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