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진

[웹진] 봄철 퍼프린젠스 식중독 주의하세요

진료과목 : 내과 , 가정의학과

후다닥 꿀팁 

봄철 퍼프린젠스 식중독 예방을 위해 음식 조리 및 보관에 주의해주세요.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충분히 끓여 조리한 음식도 실온에 방치하면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이하 퍼프린젠스) 증식으로 식중독이 발생할 수 있으니 주의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퍼프린젠스균은 가열 등으로 생육 조건이 나빠지면 열에 강한 아포*를 만들어 살아남는 특징이 있어 다른 식중독균과 달리 충분히 끓인 음식에서도 다시 증식할 수 있습니다. 또한퍼프린젠스균은 산소 싫어하고 아미노산이 풍부한 환경에서 잘 자라는 특성이 있어 갈비찜 등을 대량으로 조리하고 그대로 실온에 방치해 60℃ 이하가 되면 산소가 없는 조리용 솥 내부에서 가열과정에 살아남은 퍼프린젠스 아포가 다시 증식해 식중독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아포(spore) :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나 바실루스 세레우스 등의 세균이 고온건조 등 생존이 어려운 환경에서 만들어 내는 것으로 아포형태로 휴면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다시 자랄 수 있는 환경이 되면 아포에서 깨어나 다시 증식

퍼프린젠스 식중독은 최근 5년('18~'22년)간 총 54건환자 2,609명이 발생했고, 봄철인 3~5월에 20건(37%)으로 가장 많이 발생했습니다. 봄철에는 기온이 비교적 낮은 아침이나 저녁 조리한 음식을 기온이 올라가는 까지 실온에 그대로 방치해 퍼프린젠스 식중독이 많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퍼프린젠스로 인한 식중독은 음식 조리․보관 시 주의를 기울이면 충분히 예방할 수 있으므로 급식소나 대형 음식점 등에서는 조리식품 보관방법 온도를 준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ㅇ (조리․보관방법) 육류 등은 중심 온도 75℃1분 이상 조리하고,  시에는 여러개의 용기에 나눠 담아 5℃이하에서 보관합니다.

 ㅇ (섭취요령) 조리된 음식은 가급적 2시간 이내에 섭취하고 보관된 음식은 75℃이상으로 재가열하여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후다닥 Reference

봄철 퍼프린젠스 식중독을 주의하세요!_식약처 보도자료(2023.03.22)


WPA2304MF02

연관 질환백과 바로가기

후다닥 건강 알림

알럿창 내용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