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다닥포스트 상세
[웹진] 식품∙의료제품 온라인 광고 꼼꼼히 살펴보세요!
Who Da Doc TIP.
- 일반식품을 건강기능식품이나 의약품처럼 오인하게 하는 광고에 주의하세요!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5월 가정의 달’과 환절기를 앞두고 선물용 제품과 환절기용 제품 구매 시 소비자 피해를 선제적으로 예방하기 위해 식품·의료제품* 광고·판매 누리집을 4월 10일부터 19일까지 점검한 결과 허위·과대광고 등 위반사항 226건을 확인하고 신속하게 접속차단과 행정처분을 의뢰했습니다.
* 면역력 강화/관절 건강 제품 등(식품, 건강기능식품), 미백·주름개선 기능성화장품(화장품), 보건용 마스크/비말차단마스크(의약외품), 비염 치료기(의료기기)
1 식품·건강기능식품 등 점검 결과
부모님이나 어린이 선물 등 수요가 많은 식품·건강기능식품 등 광고·판매 게시글 300건을 점검한 결과 허위·과대 광고 82건을 적발했습니다.
주요 위반내용은 ▲질병의 예방·치료에 대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식할 우려가 있는 광고 37건(45.1%) ▲건강기능식품이 아닌 것을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식할 우려가 있는 광고 28건(34.1%) ▲식품을 의약품으로 오인할 우려가 있는 광고 6건(7.3%) ▲구매후기 등으로 소비자를 기만하는 광고 6건(7.3%) 등입니다.
식품·건강기능식품은 질병의 예방‧치료를 위한 의약품과 다르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건강기능식품은 제품에 인증마크가 표시*되어 있으며 자율심의기구에서 심의받은 내용으로만 광고할 수 있습니다.
* (건강기능식품) 식품안전나라 누리집 (https://www.foodsafetykorea.go.kr)에서 확인
2 미백·주름개선 기능성화장품 점검 결과
미백·주름개선 기능성을 인정받은 화장품을 광고·판매하는 게시글 100건을 점검한 결과 의약품 오인 광고 등 32건을 적발했습니다.
주요 위반내용은 ▲화장품을 의약품의 효능·효과가 있는 것처럼 광고 23건(71.9%) ▲기능성화장품 심사내용과 다른 광고 5건(15.6%) ▲화장품의 범위를 벗어난 표현을 사용한 광고 4건(12.5%)입니다.
화장품은 인체의 매력을 더하고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거나 피부·모발의 건강을 유지·증진하기 위해 사용하는 물품이므로, 질병의 예방이나 치료를 위한 의약품처럼 광고하는 제품은 구매하지 말아야 합니다. 아울러 기능성화장품의 경우 심사내용(미백·주름개선 등)으로 광고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기능성화장품) 의약품안전나라 누리집 (https://nedrug.mfds.go.kr) 에서 확인
3 보건용·비말차단마스크(의약외품) 점검 결과
보건용 마스크, 비말차단마스크 광고·판매 게시글 200건을 점검한 결과 마스크의 효능·효과·성능을 부풀려 과장한 광고나 공산품을 의약외품처럼 광고한 61건을 적발했습니다.
주요 위반내용은 ▲마스크의 효능·효과·성능에 대한 과장광고 41건(67.2%) ▲공산품을 의약외품으로 오인하게 한 광고 20건(32.8%)입니다.
‘보건용·비말차단용 마스크’는 성능이 검증된 제품으로, 구매시 반드시 ‘의약외품’과 ‘보건용마스크(KF80, KF94, KF99)’, ‘비말차단용마스크(KF-AD)’로 허가된 제품인지 확인*하고 공산품 마스크를 의약외품으로 오인하여 구매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의약외품) 의약품안전나라 누리집 (https://nedrug.mfds.go.kr) 에서 확인
4 비염 치료기(의료기기) 점검 결과
비염 치료기 광고·판매 게시글 200건을 점검한 결과 국내 미허가 의료기기 판매 또는 허가받지 않은 효능·효과 광고 등 51건을 적발했습니다.
주요 위반내용은 ▲국내에서 허가받지 않는 제품을 비염 치료기로 광고·판매 41건(80.4%) ▲허가받지 않는 효능·효과를 거짓으로 광고 8건(15.7%) ▲공산품을 의료기기로 오인하게 한 광고 2건(3.9%)입니다.
의료기기는 구매 시 ‘의료기기’ 표시, 허가번호 등을 꼼꼼히 확인*하고 사용 목적에 맞게 구매해야 합니다. 국내 허가받지 않은 의료기기를 해외에서 직구·구매대행 등의 방식으로 구매하는 경우 의료기기법 위반행위에 해당하며 사용 시 안전사고 우려도 있으므로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 (의료기기) 의료기기정보포털 (https://udiportal.mfds.go.kr 의료기기 DataBase검색)
* 식품·의료제품에 대한 온라인 허위·과대광고 정보는 식품안전나라(foodsafetykorea.go.kr > 전문정보 > ‘식의약 허위·과대광고’에서 확인
WHA2305ME012
후다닥 Reference
식품의약품안전처, 보도자료 '식품,의료제품 온라인 광고 꼼꼼히 살펴보세요!'(2023.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