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가 얼굴이랑 온몸에 두드러기 난지 3일째인데 병원에서 처방받은 피부발진 약이랑 리도맥스 약을 발라도 없어지질 않는데 두드러기가 원래 이렇게 오래가나요? 주사안맞아도 될까요? 응급실이라도 가야할까요?
고**
작성일 2023.05.27
조회수 468
조영욱 의사
건강지킴이
안녕하세요
알레르기 반응은 오래 갈 수 있지만 두고 보실 일은 아닙니다.
빨리 병원에 내원하셔서 진료를 다시 받아보시기 권유합니다.
김현웅 의사
건강지킴이
안녕하세요
면역체계는 흐르는 물과 같아서 아가에게 안맞는 물질을 섭취하거나 흡입한 경우
알레르기 반응이 올래 갈수 있습니다
처방받은 약으로 호전이 더디면 가까운 병의원에 가셔서
수액주사와 함께 좀 더 알레르기를 진정시킬 수 있는 주사와 약물 치료를 받는 것을 조언드립니다..
잘 치료 받아서 빨리 쾌차하기를 기원합니다
이이호 의사
건강지킴이
아기의 얼굴과 온몸에 지속적인 두드러기가 나타나고 처방받은 피부발진 약과 리도맥스 약이 효과가 없는 경우, 추가적인 상황 판단과 의사의 조언이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두드러기는 몇 일 내에 자연적으로 사라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아기의 상태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의사의 의견이 중요합니다.
아기의 두드러기가 계속되고 증상이 악화되거나 다른 증상(호흡곤란, 구토, 발열 등)이 동반된다면 응급실을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응급실에서 의사는 아기의 상태를 평가하고 필요한 진단 및 치료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주사를 맞아야 하는지 여부는 의사의 판단에 따라 결정되어야 합니다. 응급상황이 아니라면, 의사와 상담하여 상황을 설명하고 조언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의사는 아기의 증상과 병력을 고려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아기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서는 의사와의 상담이 가장 중요합니다. 가능한 빨리 의사에게 연락하고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김경남 의사
건강지킴이
안녕하세요.
#요약
제대로 치료한다면 하루만에 없어지기도 합니다.
두드러기는 피부나 점막에 존재하는 혈관의 투과성이 증가되면서
일시적으로 혈장 성분이 조직 내에 축적되어 피부가 붉거나 흰색으로 부풀어 오르고
심한 가려움증이 동반되는 피부질환인데,
곤충 자상, 음식물 알레르기, 약물, 감염, 기계적·물리적 자극 등의
여러 가지 원인과 기전에 의해 발생하는데, 대부분 원인을 모르는 경우가 더 많을겁니다.
치료로는 가려움증을 덜기 위해 주로 항히스타민제를 쓰면서 관리하게 됩니다.
다른 병원에서 진료를 다시 봐보세요
건승하세요.
최필형 의사
건강지킴이
몇개월또는 몇세인지 궁금한데요,증상을 심하게 느끼고있다면 다시병원진료받아야하고요,아무런생활지장안받고 잘먹고 잘자고 잘놀면 우선 약복용하면서 지켜봐도됩니다. 다만 몸을 너무 따뜻하게하면(뜨거운물목욕등) 두드러기가 더 오래갈수는 있습니다.
김용중 의사
건강지킴이
네 리도맥스로 효과가 없다면 응급실 또는 365의원 주말에 내원하셔서 항히스타민 및 스테로이드 주사를 맞으면 효과가 빠르겠습니다.
임계홍 의사
건강지킴이
안녕하세요
연고로 잘 안 가라앉으면 병원 내원해 주사 약처방 필요합니다.
답변이 되셨다면 추천 쿡 눌러 주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