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상세

어머니가 소변검사에서 occult blood 수치가 ++(50) / RBC는 2~4로 나오셨는데 (protein은 안나옴), 그럼 혈뇨가 심한 것인가요? 수치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 어떤 과를 추가로 검사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이**

작성일 2023.02.24

조회수 2832

박상명 의사

비뇨의학과 전문의 답변수 2722

건강지킴이 

그랜드비뇨의학과의원

소변에 혈액성분이 섞여 나오는 현미경적 혈뇨가 반복될 경우, 소변검사를 재검하게 됩니다.
재검 결과에서도 혈뇨가 나오면 비뇨기계중 피가 나올수 있는 장기를 확인하는 CT 검사와 방광내시경검사를 진행하게 됩니다.
가까운 비뇨의학과에서 상담후 추가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장종순 의사

내과 전문의 답변수 3306

건강지킴이 

미소가득한내과의원

현미경적 혈뇨는 여성의 경우 중간소변을 제대로 채취 못해도 나올 수 있고 방광염 등 하부요로 감염, 생리혈이 있어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단 소변검사를 재검 해보시고 RBC수가 더 높게 나오면 신장내과 나 비뇨기과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이성훈 의사

내과 전문의 답변수 3488

건강지킴이 

시티내과의원

혈뇨는 신장, 방광,요도등 비뇨기계에서 유발됩니다
운동 피로 등 일시적으로 보일수 있습니다
재검하셔서 혈뇨가 지속되면 신장내과 짐료를 먼저 받아보세요~~

전종철 의사

비뇨의학과 전문의 답변수 162

건강지킴이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명지병원

심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혈뇨 기준치에 합당하기 때문에 혈뇨 검사가 필요합니다. 대부분 정상이니 걱정마시고 비뇨의학과 방문해보시는게 좋겠습니다.

하승엽 의사

비뇨의학과 전문의 답변수 1338

건강지킴이 

한결비뇨기과의원

현미경 혈뇨인데요, 50세 이상으로 생각되니 1-2회 추가적으로 U/A 체크후 지속시 초음파, CT 등 검사 고려해야됩니다.
RBC 2-4 라는 수치는 요침사현미경검사에서 고배율(400배)에서 적혈구가 평균 2-4개 관찰된다는 의미입니다.

신익상 의사

내과 전문의 답변수 21

건강지킴이 

속편한신내과의원

1~2주 후 첫소변으로 재검을 하시는 걸 추천해드리고, 이물질이나 당시 몸상태에 따라 약간의 변이는 있을 수 있습니다. 재검시 다시 요잠혈이 나온다면, 흔히 요로결석, 방광염 등의 증상도 살펴보고 신장내과 혹은 비뇨기과 진료 받길 추천합니다

하수미 의사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 답변수 30
속편한신내과의원

1~2주 후 첫소변으로 재검을 하시는 걸 추천해드리고, 이물질이나 당시 몸상태에 따라 약간의 변이는 있을 수 있습니다. 재검시 다시 요잠혈이 나온다면, 흔히 요로결석, 방광염 등의 증상도 살펴보고 신장내과 혹은 비뇨기과 진료 받길 추천합니다.

홍인표 의사

가정의학과 전문의 답변수 4068

건강지킴이 

닥터홍가정의학과의원

검사전에 운동을 심하게 하셨다면 검사에서 그렇게 나올수 있으니 다시한번 아침소변으로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마이오글로빈뇨가 의심됩니다

김경남 의사 이미지

김경남 의사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답변수 42431

건강지킴이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안녕하세요

#요약
1. 현미경적 혈뇨입니다.
2. 심하지 않더라도 혈뇨가 나오는 원인을 찾으라는 신호입니다.
3. 계속 혈뇨가 나오면 정밀검사가 필요합니다. 신장내과나 비뇨기과에서 정밀검사를 해보세요

만약 적혈구가 소변에 많이 존재한다면
소변 색깔이 선홍색이나 핑크색 또는 콜라색으로 보일 수 있지만

혈뇨가 있더라도 적혈구의 양이 많지 않은 경우에는
소변이 정상처럼 보일 수 있는데, 이러한 상태를 현미경적 혈뇨라 부릅니다.

혈뇨는 요로계의 어느 부위에서든 감염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데,
특히 방광이나 콩팥에 생긴 염증으로 인해 흔하게 생길 수 있습니다.

나이가 많을수록 신장암이나 방광암과 같은 암을 의심할 수 있으며,
나이가 적으면 사구체 신염에 의한 가능성을 먼저 생각합니다.

그리고 콩팥을 비롯한 요로에 결석이 있는 경우에도 혈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콩팥부터 요도까지 요로계 어느 부위에서든지 외상에 의한 손상으로 인해 혈뇨가 생길 수 있습니다.

또 와파린 또는 아스피린 계열의 약들과 같이
혈액 응고를 방해하는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 혈뇨가 발생할 확률이 높고
과격한 운동 후 근육이 파괴되면, 소변이 혈뇨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건승하세요

Q&A 다른 질문

후다닥 건강 알림

알럿창 내용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