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자기 입안이 계속 마르는 증상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 어떻게 해야 할까요
정**
작성일 2023.03.02
조회수 1466
김량희 의사
건강지킴이
안녕하세요.
역류성 식도염의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역류성 식도염의 증상은 정말 다양합니다.
속쓰림이 주된 증상이며, 매주 한번 이상, 일상 생활에 지장이 있을 정도의 속 쓰림이 있다면
역류성 식도염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눕거나 구부릴 때 생기는 속쓰림, 쉰 목소리와 목의 이물감, 흉부의 작열감 및 이물감,
인후부 불쾌감, 쉰 목소리, 입마름, 연하곤란, 치아 부식까지 다양한 증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또한 역류된 위 내용물이 하부식도의 기침 수용체를 자극함에 따라 발생하여 기침이나 가래가 동반될 수 있습니다.
역류성 식도염은 초기 대처가 매우 중요합니다. 증상이 조금 호전되었다고 임의로 약을 중단하거나 밑빠진 독에 물을 붙는 것처럼 약에만 의지하고 생활습관 식습관을 조절하지 않으면 바로 재발하는 골치 아픈 병입니다.
특히 식습관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위와 식도 사이 괄약근을 느슨하게 하는 지나친 음주나 삼겹살 등의 기름진 음식 섭취를 주의해야 하며 위산 분비를 촉진하는 탄산음료, 과일주스, 커피, 맵고 자극적인 음식 섭취를 줄여보시기를 조언드립니다. 또한 규칙적인 식사시간과 야식을 피하고 식후 가벼운 산책이나 걷기운동은 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특히 취침 3시간 전에는 음식을 피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혹시 체질량지수가 과체중이거나 비만이라면 적절한 체중감량도 식도염에 큰 도움이 됩니다.
식습관과 생활습관을 조절하시고 식도, 위 기능이 정상화 될때까지 2~4주 이상 꾸준히 약물 치료를 마치시는 것을 조언드립니다.
윤지철 의사
건강지킴이
병적인 원인 (당뇨, 갑상선 질환, 간질환, 쇼그렌 증후군, 구강 곰팡이 ) 이 있는 경우가 있으나
더 많은 원인은
약제들 ( 신경과 질환, 소변약, 다이어트 약 , 항히스타민제 등) 이 원인이 되는경우
치약이나 치솔을 바꾸어서 생기는 경우도 있고
스트레스나 시험을 앞두고 교감신경이 항진되어서 그럴수도 있습니다.
수분섭취가 도움이 됩니다.
신용준 의사
건강지킴이
구강건조증의 경우 우선은 당뇨나 알러지성 비염등 해당 증상을 일으키는 원인질환의 감별이 필요합니다.
다른 원인질환이 없다면 평소 수분섭취를 충분히하고, 코로 호흡을 해야하며, 신 음식(레모나 등등) 을 자주 섭취해 침 분비를 늘리려 노력하셔야 합니다.
장종순 의사
건강지킴이
비염 등에 의해 입으로 호흡하거나 항히스타민 등 약제 복용시에도 입안이 마르는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당뇨는 구갈과 다음, 다뇨증상도 같이 동반됩니다.
쇼그렌 증후군이라는 병도 있지만 흔하게 발생하지 않습니다.
일단 약을 복용하신다면 처방 병원에서 상담 받아 보시고 비염이 있다면 이비인후과 진료 바랍니다.
김용중 의사
건강지킴이
구강건조증을 방치하면 위축성설염, 구강작열감 등 증후군으로 발전할 수 있어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침 분비를 자극할 수 있는 껌이나 신 음식을 먹는 것도 증상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고 뜨겁고 건조한 곳에 오래 머물지 않도록 하시면 도움이 되겠고 증상의 호전이 없으면 이비인후과 내원하셔서 정확한 상태 확인후 치료 받으시길 바랍니다.
김경남 의사
건강지킴이
안녕하세요.
입이 마르는 증상을 목이 마른 상태로 착각하기 쉬운데
입안 점막이 비정상적으로 마르는 구강 건조증은
침샘이 제 기능을 다하지 않아 생기며,
원인은 흡연, 스트레스, 불안, 그리고 노화 등에
항우울제나 혈압약, 현기증이나 알레르기 치료제 때문에 생기기도 합니다.
대부분은 구강건조증 또는 구강작열증후군 때문에 갈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으니
대학병원 구강내과에서 진료를 봐 보세요
건승하세요.
김현웅 의사
건강지킴이
안녕하세요
수분섭취를 충분히 하셔도
입안에 불편함을 느끼신다면
우선은 당이 많은 음료수나 음식, 탄산음료, 자극적인 음식, 술, 담배를 줄여보시는 것을 조언드립니다
치주염이나 잇몸질환이 있는 경우에도 구강이 안좋아질 수 있기에
안좋으시다면 치과 검진도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스트레스와 과로 또한 예민하게 작용하지요
위에 언급한 악화요인을 조심하셔도 증상이 심해지고 반복된다면
가까운 병의원에 가셔서 전체적인 신체 상태를 검사해 보시는 것을 조언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