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장애는지적기능과적응행동모두포함되나요?
양**
작성일 2023.03.02
조회수 116
안소연 의사
건강지킴이
지적 장애는 대개 지능검사 점수로 결정됩니다.
제일 보편적인 지능검사는 웩슬러 지능검사입니다.
총15개의 소검사로 이루어져있고, 4가지 지표점수 합산으로 총 IQ가 측정된다고 합니다.
4개의 지표점수 구성
1. 언어이해 지표: 공통성, 어휘, 상식, (이해)
언어적 이해능력, 언어적 정보처리능력, 언어적 기술 및 정보의 새로운 문제해결을 위한 적용 능력, 어휘를 이용한 사고능력, 결정적 지식, 인지적 유연성, 자기감찰 능력 등을 반영
2. 지각추론 지표: 토막짜기, 행렬추론, 퍼즐, (무게비교), (빠진곳찾기)
지각적 추론능력, 시각적 이미지에 대한 사고 및 처리능력, 시각-운동 협응능력, 공간처리 능력, 인지적 유연성, 제한된 시간 내에 시각적으로 인식된 자료를 해석 및 조직화하는 능력, 유동적 추론능력, 비언어적 능력등을 반영
3. 작업기억 지표: 숫자, 산수, (순서화)
작업기억, 청각적 단기기억, 주의집중력, 수리능력, 부호화 능력, 청각적 처리기술, 인지적 유연성, 자기감찰 능력 등 반영
4. 처리속도 지표: 동형찾기, 기호쓰기, (지우기)
시각정보의 처리속도, 과제 수행속도, 시지각적 변별능력, 정신적 수행의 속도 및 정신운동속도, 주의집중력, 단기 시각-운동협응능력, 인지적 유연성 등을 반영
김경남 의사
건강지킴이
안녕하세요.
지적장애는 지적인 기능이 평균 이하인 상태입니다.
구체적으로는 지능 발달의 장애로 인하여 학습이 불가능하거나 제한을 받고,
적응 행동의 장애로 관습의 습득과 학습에 장애가 있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과거에는 '정신지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습니다.
건승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