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살에 녹내장진단을 받으면 치료잘받을경우 평생 실명되지않고 살 확률이 몇프론가요? 인공눈물 낳는게 안압감소에 도움이 되나요,
정**
작성일 2023.03.27
조회수 257
박상민 약사
건강지킴이
녹내장은 눈안의 압력이 증가하여 시신경을 손상시켜 시력을 저하시키는 질환입니다. 녹내장은 초기에는 증상이 없기 때문에, 정기적인 검진이 중요합니다. 녹내장이 진단되면, 적절한 치료와 눈안압 관리가 필요합니다.
1. 약물 치료: 녹내장의 약물 치료는 눈안압을 낮추기 위해 사용됩니다. 대개는 눈안압을 낮추는 안약을 처방받아 매일 눈에 점안하여 복용합니다. 또한, 필요에 따라 경구 약물도 함께 사용될 수 있습니다.
2. 수술 치료: 안압을 줄이는 약물 치료로도 충분히 통제되지 않는 경우, 수술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수술 치료로는 눈안압을 줄이기 위한 눈안압강하술, 눈안의 수액이 누출되도록 하는 눈안압강하수술 등이 있습니다.
3. 일상적인 관리: 녹내장 환자는 일상적인 눈 건강 관리에 신경써야 합니다. 담배를 피우지 않고, 건강한 식습관을 유지하며, 적절한 운동과 수면도 중요합니다. 또한, 눈안압 측정과 안과 검진을 정기적으로 받아야 합니다.
녹내장은 초기에는 증상이 없어서 무심코 방치할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시력을 저하시키는 질환입니다. 따라서, 정기적인 검진과 적절한 치료 및 눈안압 관리가 필요합니다.
우리가 평소에 먹는 음식에도 녹내장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들이 있습니다. 그 대표적인 것은 케일, 콜라드, 당근, 복숭아, 오렌지 같은 녹황색 채소 및 과일들입니다. 또한 은행잎 추출물과 빌베리 추출물인 안토시아닌 등 항산화 효과를 가진 성분은 녹내장 환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녹내장 발생의 가장 중요한 인자로 높은 안압을 꼽을 수 있지만, 이 밖에도 녹내장의 발생 기전을 설명할 때 중요하게 거론되는 것 중 하나가 산화 스트레스입니다. 우리가 호흡을 하면서 마시는 산소는 체내 대사과정을 통해 에너지원을 만들어내는데 핵심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호흡 대사과정의 부산물로 우리 몸에 해로운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합니다. 이 산화 스트레스가 구조적으로 취약한 녹내장 환자의 시신경을 더욱 손상시킴으로써 녹내장 발생에 관여할 수 있다는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항산화 작용이 있는 음식물의 섭취가 녹내장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앞서 언급한 케일, 콜라드, 당근, 복숭아, 오렌지 같은 녹황색 채소 및 과일들은 산화 스트레스를 줄여 주는것으로 여겨지는 대표적인 것들입니다.
항산화 효과가 알려진 은행잎 추출물과 빌베리 추출물인 안토시아닌도 정기적으로 섭취했을 때 녹내장 환자의 시야개선 효과를 가져왔다는 연구 결과가 국내외에서 보고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제품으로 셀로맥스 글라우빌정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항산화제를 맹신하여 본래의 녹내장 치료를 소홀히 하는 것은 문제가 있으며, 약제도 편리하지만 음식을 통하여 균형 있는 영양을 섭취하는 것이 녹내장 치료에 더 이상적일 것으로 판단됩니다.
김경남 의사
건강지킴이
안녕하세요
녹내장은 황반변성, 당뇨망막병증과 함께 3대 실명질환입니다.
황반변성의 15%,
녹내장의 10%가 실명에 이르게 되며,
녹내장을 조기 발견하여 치료하면 실명은 피할 수 있습니다.
안압 낮추는 약이 안압감소에 효과가 있습니다.
건승하세요
Q&A 다른 질문
-
Q
장염 걸리고 나서 변비가 생겼는데 기다리면 되나요?A
장염이 걸리고 나면 일시적으로 장운동이 저하되는데 정상화될 때까지 수일에서 수주 가량 소요가 됩니다. 이 기간 동안은 오히려 소화불량이나 변비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Q
검진에서 ALT가 58로 나왔는데 어떻게 하나요?A
가장 흔한 간기능의 이상은 체중과 음주로 인한 지방간 또는 약물로 인한 약인성 간염입니다. 현재 복용하고 있는 약(보약,건강 보조제 포함) 종류를 확인하고 초음파 검사와 추가 혈액검사(간염 바이러스 등)를 받는 것이 필요하니 내과 진료를 보시기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
Q
축농증치료는 어떻게하나요A
약물치료를 하거나, 필요시 수술적 치료를 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