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상세

소변검사에서 눈에 보이지 않는 피가 나온다고 하는데
이런 경우 치료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김**

작성일 2023.03.31

조회수 530

김량희 의사

내과 전문의 답변수 3009

건강지킴이 

베드로내과의원

1~2개월 후 재검을 하시기 바라며, 신장기능 혈액검사도 같이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오지청 의사

이비인후과 전문의 답변수 4305

건강지킴이 

센트럴이비인후과의원

재검을 하거나 정밀검사를 더 진행해서 치료를 합니다.

김현웅 의사

피부과 전문의 답변수 19146

건강지킴이 

김현웅피부과의원

안녕하세요

이런경우를 눈에 보이지 않는 미세혈뇨라고 합니다

육안적 혈뇨와 다르게 현미경적으로만 적혈구가 보이는 단계입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가볍게 보면 안되며
그 원인을 찾아야 합니다

가벼운 방광염부터 신장문제까지 다양하기에
지속적인 혈뇨가 관찰되면
가까운 신장내과나 비뇨기과에서 정확한 검사로
진단을 받으시고 그 진단에 따라 치료 시작하시는 것을 조언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김경남 의사 이미지

김경남 의사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답변수 42147

건강지킴이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안녕하세요

#요약
1. 현미경적 혈뇨입니다.
2. 심하지 않더라도 혈뇨가 나오는 원인을 찾으라는 신호입니다.
3. 계속 혈뇨가 나오면 정밀검사가 필요합니다. 신장내과나 비뇨기과에서 정밀검사를 해보세요

만약 적혈구가 소변에 많이 존재한다면
소변 색깔이 선홍색이나 핑크색 또는 콜라색으로 보일 수 있지만
혈뇨가 있더라도 적혈구의 양이 많지 않은 경우에는
소변이 정상처럼 보일 수 있는데, 이러한 상태를 현미경적 혈뇨라 부릅니다.

혈뇨는 요로계의 어느 부위에서든 감염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데,
특히 방광이나 콩팥에 생긴 염증으로 인해 흔하게 생길 수 있습니다.

나이가 많을수록 신장암이나 방광암과 같은 암을 의심할 수 있으며,
나이가 적으면 사구체 신염에 의한 가능성을 먼저 생각합니다.

그리고 콩팥을 비롯한 요로에 결석이 있는 경우에도 혈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콩팥부터 요도까지 요로계 어느 부위에서든지 외상에 의한 손상으로 인해 혈뇨가 생길 수 있습니다.

또 와파린 또는 아스피린 계열의 약들과 같이
혈액 응고를 방해하는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 혈뇨가 발생할 확률이 높고
과격한 운동 후 근육이 파괴되면, 소변이 혈뇨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건승하세요

Q&A 다른 질문

후다닥 건강 알림

알럿창 내용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