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상세

안면근육 컨트롤이 잘 안되면 구안와사 인가요?

어느 병원에 가야하는지 모르겠어요

증상이 조금이라도 나타났을 때 빨리 치료를 해야한다고 들어서요

이**

작성일 2023.04.11

조회수 164

김기덕 의사

가정의학과 전문의 답변수 217

건강지킴이 

의료법인 영훈의료재단 대전선병원

안면 마비는 신경과에서 진료합니다.

이이호 의사

외과 전문의 답변수 10184

건강지킴이 

창원파티마병원

안면근육 컨트롤이 잘 안되는 증상은 구안와사증후군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구안와사증후군은 안면근육의 비정상적인 수축으로 인해 얼굴이 일시적으로 왜곡되거나 일정부위의 근육이 긴 시간동안 수축되는 증상입니다.

일반적으로 이런 증상이 나타난 경우 신경과나 이비인후과를 찾아가시는 것이 좋습니다. 치료는 주로 안면근육운동치료나 약물치료를 시행하게 됩니다.

증상이 더 심해지거나 급격하게 나타난 경우에는 응급실을 방문하셔서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김수림 의사

내과 전문의 답변수 2995

건강지킴이 

가톨릭관동대학교 국제성모병원

신경과 진료를 받아 보시는 편이 좋겠네여

안소연 의사

가정의학과 전문의 답변수 998

건강지킴이 

재단법인서울의과학연구소 하나로리더스의원

신경과와 이비인후과입니다.

구안와사라는 말은 한방에서 쓰는 말로 그럴 듯 해보일진 몰라도 口眼喎斜 (구안괘사; 입 구, 얼굴 안, 입비뚤어질 괘, 기울 사)= 입과 얼굴이 비뚤어지고 기울어졌다
증상을 한자로 옮긴 것에 불과합니다. 쉽게 안면마비라고 쓰는 것이 옳습니다. 그나마도 구안괘사를 잘못 읽은 구안와사가 널리 쓰이고 있으니 더욱 옳지 않지요.

신운경 의사

내과 전문의 답변수 2903

건강지킴이 

가톨릭관동대학교 국제성모병원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탁영남 의사

내과 전문의 답변수 3015

건강지킴이 

가톨릭관동대학교 국제성모병원

네 신경과 진료를 보세요

김현웅 의사

피부과 전문의 답변수 19506

건강지킴이 

김현웅피부과의원

안녕하세요

안면마비의 원인은 다양합니다
일반적으로 몸이 피로하거나, 스트레스를 받거나, 신경을 쓴 후, 또는 찬바람을 쏘인 후 안면 마비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동맥의 부종 등으로 인한 신경의 압박, 추위로 인한 면역학적 염증, 정신적 충격이나 감정적 불안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우선은 환자분 말씀처럼 초기에 정확한 원인을 찾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기에
가까운 신경과에 가셔서 진료 보시는 것을 조언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추일연 의사

신경과 전문의 답변수 1358

건강지킴이 

의료법인자인의료재단(더자인병원)

안녕하세요

안면얼굴의 비대칭이 발생하거나, 한쪽 얼굴 근육이 잘 움직이지 않는다면 안면마비 가능성이 있으며, 신경과로 가셔서 진료를 보시는 것을 권유해드립니다.

박세명 의사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답변수 7645

건강지킴이 

유앤박소아과의원

일단은 가까운 신경과에 내원하시는 것이 어떨까요

강혜훈 의사

신경과 전문의 답변수 2779

건강지킴이 

반도병원

안면마비는 얼굴을 움직이는 근육의 마비증상으로 양쪽 얼굴의 비대칭 증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얼굴근육의 움직임이 내 의지와 상관없이 불수의적으로 움직이는 경우는 안면근파동에 가까우며, 주로 당시의 본인 몸 컨디션을 대변해 주는 증상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안면근파동이 자주 나타나거나, 생활에 불편감을 주는 정도의 강도로 발생하는 경우는 근이완제,혹은 항경련제일종인 클로나제팜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경구약 복용으로 조절 되지 않을 경우에는 보톡스 주사치료 방법 또한 고민해 볼 수 있습니다.

김경남 의사 이미지

김경남 의사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답변수 44462

건강지킴이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안녕하세요

안면 마비는 어떤 원인에 의해서
얼굴의 근육을 움직이는 안면 신경의 기능에 문제가 생겨
얼굴에 마비가 발생하는 것인데,

안면 마비가 생기면 한쪽 얼굴 근육의 움직임의 정도가 감소하여
얼굴을 움직일 때 양쪽이 서로 비대칭이 됩니다.

과는 신경과입니다.

건승하세요

장종순 의사

내과 전문의 답변수 3552

건강지킴이 

미소가득한내과의원

안면신경 마비는 신경과에서 보는 질환입니다. 이를 꽉 깨무는 자세를 취했을 때 대칭적으로 근육이 움직이지 않으면 의심할 수 있습니다.
신경과 진료 바랍니다.

김용중 의사

가정의학과 전문의 답변수 15455

건강지킴이 

노원구보건소

안면마비 환자들이 구안와사가 많으나 감별이 필요하겠고, 마비로 인해 안면근육이 굳어서 잘 안 움직이기 때문에 꾸준하게 마비된 안면근육을 재교육해줄 수 있는 운동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신경과 내원하시길 바랍니다.

채홍석 의사

가정의학과 전문의 답변수 3310

건강지킴이 

의료법인영훈의료재단 유성선병원

꼭 그렇지는 않지만 일단은 응급실이구요. 과로 따지면 신경과입니다

Q&A 다른 질문

후다닥 건강 알림

알럿창 내용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