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압이 129~76 이나왔는데 고혈압인가요? 아니면 정상인가요?
박**
작성일 2023.04.11
조회수 19025
이한별 의사
건강지킴이
아직은 정상 범위에 속한다고 볼 수 있지만, 주기적인 운동 및 식이조절 등을 통해 더욱 건강해지 실 수 있을거라 생각됩니다. 늘 건강하시기 바랍니다.
이이호 의사
건강지킴이
혈압은 일반적으로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 두 개의 수치로 나타내며, 수축기 혈압은 심장이 수축하여 혈액이 동맥에 흐를 때의 혈압이고, 이완기 혈압은 심장이 이완하여 혈액이 동맥에서 빠져나갈 때의 혈압입니다. 일반적으로 혈압은 120/80mmHg이 정상 범위입니다.
따라서, 129/76mmHg의 혈압은 수축기 혈압이 약간 높게 나왔지만, 이완기 혈압은 정상 범위 내에 있으므로 고혈압은 아니지만 주의가 필요한 상태입니다.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일정 기간 동안 혈압을 측정하여 추세를 파악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지속적으로 혈압이 높게 나온다면 의사와 상담하여 적절한 검사와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조영욱 의사
건강지킴이
안녕하세요
기존의 고혈압 기준은
수축기 혈압 140mmHg 이상, 이완기 혈압 90mmHg 이상으로 흔히 140/90였는데,
이번 미국 심장병학회에서 고혈압의 기준을 강화하는 취지로
수축기 혈압 130mmHg 이상, 이완기 혈압 80mmHg 이상으로 (130/80) 조정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저혈압은 혈압이
수축기 혈압 90mmHg, 이완기 혈압 60mmHg 보다 낮을 때입니다.
매일 운동을 하는 운동선수들은 혈압과 맥박이 낮으며,
종종 수축기 혈압이 90mmHg 미만으로 떨어지기도 하지만,
이런 경우에는 병적인 현상으로 보지 않습니다.
즉,
고혈압 < 140/90
저혈압 < 90/60 입니다.
고혈압이든, 저혈압이든 둘 다 위험하므로
어느 쪽이든 정상혈압에 가까워지도록 철저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며,
고혈압 환자는 정상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성훈 의사
건강지킴이
정상혈압은 120/80mmHg이며 병원에서 140/90mmHg 이상 가정에서는 135/85mmHg이상을 고혈압으로 진단 합니다. 그러나 1회측정값으로 바로 고혈압으로 진단 하지는 않습니다
김현웅 의사
건강지킴이
안녕하세요
일반적으로 정상 혈압은 120/80 이하입니다
하지만 한번 측정으로 고혈압 유무를 판단하지 않고
충분한 안정 후 바른 자세로 여러번 측정하시고 판단하시는 것을 조언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송유준 의사
건강지킴이
혈압은 수축기 혈압의 경우 120 미만을 정상, 이완기 혈압의 경우 80 미만을 정상으로 간주합니다. 질문자님의 혈압은 고혈압 까지는 아니시지만 고혈압 전단계(수축기혈압 기준 120~139 사이) 에 해당하시므로 저염식이, 체중관리 등의 식생활습관 개선을 해보시면 도움이 되겠습니다.
신용준 의사
건강지킴이
현재 측정하신 혈압은 정상입니다.
다만, 혈압은 1회 측정보다는 여러번의 측정 후 평균을 내심이 더 정확합니다.
다른 날 또는 다른 시간에도 몇번 더 측정해보세요
김경남 의사
건강지킴이
안녕하세요
미국심장협회와 미국심장학회가 개발한
성인 고혈압 진단 기준은
-정상혈압은 120/80mmHg 미만,
-상승혈압은 120~129/<80mmHg,
-1기 고혈압은 130~139/80~89mmHg,
-2기 고혈압 140/90mmHg 이상을 적용하는데,
이 과정에서 전단계고혈압이라는 용어도 상승혈압으로 표기합니다.
건승하세요.
Q&A 다른 질문
-
Q
속이 더부룩할때 어느과를 가야 하나요A
속불편감이 있을때 내과 우선 권유드립니다. -
Q
소화가 안될때 탄산수가 도움이 되는지 궁금합니다A
일시적으로 도움은 됩니다. 그러나 기저질환(위염 이나 위식도 역류질환등) 을 악화시킬수도 있으므로 증상이 자주 반복되면 가까운 내과를 방문하셔서 내시경이나 초음파 해보실것을 권합니다 -
Q
때를 자주밀명 안좋은가요A
좋지않습니다. 표피 바깥층은 우리 피부를 보호하는 작용을 하므로 자주 벗겨내면 건조해서 가려움증이 발생하거나 긁어 상처나면 감염에 취약해질 수 있습니다. 특히 알러지피부이거나 아토피성이 있는 경우는 하지 않으실것을 권하고 민 다음에는 피부 보습을 충분히 하시길 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