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2주전에 자다가 발작현상이 일어나서 응급실에 갔습니다. 뇌사진도 찍어봤는데, 정상이 나와서 2시간만에 퇴원했습니다. 그후로 1주일 뒤에 갑자기 몸에 움찔거리는 떨림 현상이 일어나기 시작했습니다. 문제가 잘때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도 떨림 현상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찾아보니 파킨슨 떨림일 수도 있다는데 아직 10대고 신체능력저하 그런건 없는 것 같아서 그럴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봅니다 가족중에 아빠가 잘 때 움찔거리는 습관?을 가지고 계시는데 유전적인 문제인가요 아니면 다른 이유라도 있는 건가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박**
작성일 2023.04.14
조회수 1599
김용중 의사
건강지킴이
아버지께서 틱증상이 있는데 자년분이 이러한 움찔거리는 습관이 있으신 것은 유전적인 요인도 가능하지만, 다른 원인도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스트레스, 불안, 피로, 뇌전증 등 다양한 신경학적 질환으로 인해 움찔거리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연령 등을 고려했을때 파킨슨병일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사료되니 신경과에서 확인해보셔야 하겠습니다.
추일연 의사
건강지킴이
안녕하세요
연령 등을 고려했을때 파킨슨병일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사료되고, 움찔거리는 근경련인지 떨림인지 발작인지 증상에 따라 고려해야 하는 질환들이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뇌전증 등의 가능성도 배제해야하며 자세한 검진 및 추가 검사들이 필요할 수 있어 근처 신경과 진료를 권유해드립니다. 환자분의 완쾌를 바라겠습니다.
이이호 의사
건강지킴이
파킨슨병은 대부분 50대 이상의 연령층에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10대에서 발생하는 것은 매우 드물기 때문에 파킨슨병일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그러나, 움찔거리는 떨림 현상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전문가의 진료가 필요합니다.
가족 중에서 아버지가 움찔거리는 습관이 있으신 것은 유전적인 요인도 가능하지만, 다른 원인도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스트레스, 불안, 피로, 뇌전증 등 다양한 신경학적 질환으로 인해 움찔거리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움찔거리는 떨림 현상이 계속해서 나타난다면 신경과 전문의를 방문하여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강혜훈 의사
건강지킴이
발작증상이 실제적인 뇌전증의 증상인 경우도 있지만 심리적인 부담감에서 오는 convulsion 인 경우도 있습니다. 몸이 움찔거리는 양상의 떨림이 특이적으로 몸의 일부분에 국소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이라면 뇌전증의 증상일 가능성이 있기때문에 다시 병원에 방문하시어 뇌파검사 시행 받는 것을 권고합니다.
김경남 의사
건강지킴이
안녕하세요
#요약
1. 생리적 떨림인지,
2. 병적인 떨림(파킨슨병, 본태성떨림 등등)인지 감별진료가 필요합니다. #
정상적인 상태에서도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으나
미세한 떨림이 모든 몸의 부위에 존재합니다.
이러한 정상적인 떨림을 생리적 떨림이라고 하는데,
-스트레스가 있거나 몸이 긴장하는 상황이 되었을 때,
-몸이 피곤할 때, 특정약물을 복용하였을 때,
-커피나 카페인 음료를 과다하게 먹었을 때,
-저혈당이나 갑상선기능항진증이 있을 때
이러한 생리적 진전이 항진되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한쪽팔에서만 떨림이 있거나
양측에 있더라도 두드러지게 비대칭적인 안정시 떨림이 있는 경우
파킨슨병의 가능성을 의심해야 합니다.
파킨슨병 떨림의 경우 안정시 떨림과 함께
운동완서, 표정변화, 걸음걸이 장애 등 다른 파킨슨증상이 동반되는 경우가 흔하므로
감별진단에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병의 초기에 다른 증상 없이 안정시 떨림만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떨림을 유발 시키는 여러가지 약물이 있으므로 떨림이 있어 진료를 받을 때에는
꼭 복용 중인 약물의 처방전이나 약제를 담당 의사가 알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본태성 떨림은 특별한 원인 없이 본인의 체질적인 영향 때문에 발생하는 떨림으로
가족력이 있는 경우가 흔합니다.
본태성 떨림은 흔한 이상운동 질환입니다.
감별진단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건승하세요
서민석 의사
건강지킴이
검사에서 이상이 없었다면 별 문제는 없을 것 같고 혹시 하지 불안 증후군이 아닐까 싶기도 하네요. 낮에 신경과에 한번 가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