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상세

과민성대장증후군이라 느낄경우 어느병원은 가야 하나요? 내과? 항문외과?

권**

작성일 2023.04.17

조회수 8380

최윤형 의사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 답변수 1181

건강지킴이 

닥터진이비인후과의원

안녕하세요

과민성 대장 증후군이 걱정되셔서 진료를 보신다면 내과, 특히 소화기내과 진료를 보시는 것을 권유해드립니다.

최인호 의사

정형외과 전문의 답변수 39
중앙대학교병원

내과나 가정의학과 쪽에서 진료를 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최연철 의사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답변수 1247

건강지킴이 

학교법인가톨릭학원가톨릭대학교서울성모병원


안녕하세요. 과민성대장증후군에 대해 걱정이신 듯 합니다.

가까운 의원의 진료를 원하신다면 내과 의료진의 진료를,
종합 또는 대학병원의 경우 소화기내과 의료진의 진료가 필요합니다.

잘 진료 받으시고 회복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김기덕 의사

가정의학과 전문의 답변수 217

건강지킴이 

의료법인 영훈의료재단 대전선병원

일반적으로 과민성대장증후군은 내과나 가정의학과에서 봅니다.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다른 병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대장내시경 검사를 시행하기도 합니다.

박세영 의사

내과 전문의 답변수 2794

건강지킴이 

가톨릭관동대학교 국제성모병원

소화기내과를 가시면 됩니다.

조영욱 의사

내과 전문의 답변수 2899

건강지킴이 

베드로내과의원

안녕하세요.

내과를 가시면 되고, 그 중에 소화기내과에 가시면 됩니다.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주요 증상은 배변 양상의 변화와 함께 발생하는 복통 혹은 복부 불편감입니다.
배변 양상의 변화는 없을 수도 있습니다.


대장이 과민해져 대장의 운동이 지나치게 활발해져서 설사가 유발되거나

움직임이 급격히 감소한 경우 변비가 발생하면서, 설사와 변비가 반복되기도 합니다.


또한 내장 민감도가 증가하여 장 내 가스에 의해 복부통증이나 불편감을 쉽게 느낄 수 있고,

이외에도 복부팽만은 흔한 증상이며 속쓰림, 연하곤란 등의 상부위장관 증상과 전신 피로, 두통 등의 전신 증상도 나타납니다.


대변검사, 대장 내시경, 혈액검사 등을 통하여 다른 질환의 여부를 확인하여 특별한 이상이 없으면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가능성이 큽니다.


과민성 대장 증후군에 효과적인 단독 치료법은 없으며 증상에 따른 약물과 생활습관 변화를 통하여 치료해야 합니다.

규칙적인 식사와 적당한 휴식, 스트레스 관리, 과식을 피하고 식이섬유가 풍부한 음식 섭취, 저 FODMAP 식이, 유산균을 꾸준히 복용하는 등의 생활습관 변화가 꼭 동반돼야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이성훈 의사

내과 전문의 답변수 3488

건강지킴이 

시티내과의원

내과,가정의학과증에 가시면 됩니다

김현웅 의사

피부과 전문의 답변수 19236

건강지킴이 

김현웅피부과의원

안녕하세요

스트레스와 술 자극적인 음식을 피하시면서
소화기 내과에 가셔서 진료 보시고 치료 받으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이이호 의사

외과 전문의 답변수 9967

건강지킴이 

창원파티마병원

과민성 대장 증후군은 대장 내의 기능 이상으로 인한 증상으로, 대부분의 경우 내과에서 진단 및 치료가 가능합니다. 그러나 항문 외과와 소화기 내과 등 다른 진료과에서도 치료가 가능합니다.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내과 전문의나 소화기 내과 전문의를 찾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증상이 경증하거나 초기에 발견된 경우 일반 내과에서 치료받는 것도 가능합니다. 진료 전에 의료진에게 증상을 자세히 설명하고 진료과를 상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한별 의사

외과 전문의 답변수 2792

건강지킴이 

연세하늘본정형외과의원

내과에 가셔서 진료 보시면 되겠습니다. 늘 건강하시길 바라겠습니다.

김경남 의사 이미지

김경남 의사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답변수 42734

건강지킴이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안녕하세요

#요약
내과계열 병원으로 가면 됩니다.
외과계열은 수술하러 가면 되는 과입니다.

과민성 대장증후군에 효과적인 단독치료법은 없으며
증상에 따른 약물과 생활습관 변화를 통하여 치료해야 합니다.

-규칙적인 식사와 적당한 휴식
-스트레스 관리
-과식을 피하고 식이섬유가 풍부한 음식 섭취
-장에 자극을 주는 음식 피하기
-복부팽만이 있는 경우 가스를 생성하는 식품 피하기

여러 약물치료도 병행하기도 합니다.

건승하세요

김용중 의사

가정의학과 전문의 답변수 15298

건강지킴이 

노원구보건소

소화기내과 병원으로 내원하시면 되겠습니다.

Q&A 다른 질문

후다닥 건강 알림

알럿창 내용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