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상세

생리전 증후군이 너무 깁니다ㅠㅠㅠ
생리때보다 더 힘든거 같아요
도움이 될만한게 있을까요

홍**

작성일 2023.04.23

조회수 416

김기덕 의사

가정의학과 전문의 답변수 217

건강지킴이 

의료법인 영훈의료재단 대전선병원

통증이 심한 경우라면, 미리 약을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생리통이 시작되지 전에요.
통증을 유발하는 물질은 그 이전부터 만들어지기 때문입니다.
감정의 기복이 문제라면 관련 약물이 도움될 수 있습니다.
음식 조절이 잘 되지 않는다면 마그네슘이나 비타민B 보충이 도움이 될 수 있어요.

김용중 의사

가정의학과 전문의 답변수 15302

건강지킴이 

노원구보건소

생리시작전 일반 피임약 또는 진통소염제를 산부인과 주치의 상의후 복용해보시길 바랍니다.

김현웅 의사

피부과 전문의 답변수 19261

건강지킴이 

김현웅피부과의원

안녕하세요

생리전 증후군은 누구나 가볍게는 있지만
심한 경우 고생을 하게 됩니다

모두 호르몬 변화에 의해서 나타나기에
충분한 휴식과 함께 너무 짜거나 단 자극적 음식과 카페인을
지양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이런 노력에도 증상이 심하면 산부인과에서 호르몬 치료 받는것을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정재희 의사

내과 전문의 답변수 2690

건강지킴이 

연세바른내과의원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산부인과 진료를 받아보세요

임계홍 의사

응급의학과 전문의 답변수 12460

건강지킴이 

광주일곡병원

안녕하십니까.

자궁내막증 등 산부인과 내원해 기저질환 유무 먼저 확인해보시길 추천 드립니다.
큰이상이 없으면, 피임약 , 호르몬 요법으로 조절은 가능하지만 권유해 드리고 싶지 않습니다.

미온수 , 족욕,반신욕 등으로 대증치료 요법 추천 드립니다.

늘 건강하시고 행복하십시요

김경남 의사 이미지

김경남 의사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답변수 42898

건강지킴이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안녕하세요.

#요약
1. 가장 먼저 식습관을 변화시켜야 합니다.
2. 증상이 심하면 경구피임약 등의 호르몬 치료를 시도합니다. #

월경전 증후군이란 황체기(월경기 후반부) 동안에
일상적 활동을 방해할 정도의 신체적, 정신적 및 행동 증상이 나타나며,
주기적이면서 증상이 배란 후인 황체기에 일어나는 질환입니다.

월경전 증후군은 한두 번의 치료로 완치되지 않습니다.

가장 먼저 식습관을 변화시켜야 하는데,
카페인 섭취를 줄이고, 짠 음식과 단 음식을 적게 섭취하면 증세가 훨씬 나아집니다.

비타민제와 칼슘, 마그네슘 같은 미네랄을 보충하면 증세가 좋아지며,
규칙적인 운동도 증상의 경감에 도움을 줍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조절되지 않으면
경구피임약 등의 호르몬 치료를 시도합니다.

건승하세요.

서민석 의사

가정의학과 전문의 답변수 7001

건강지킴이 

가톨릭대학교인천성모병원

참 난감합니다. 생리전 증후군이 심한 분들은 경구 피임약으로 생리를 조절하기도 합니다. 심리적 증상이 문제라면 항우울제를 써보기도 하구요. 생리 전 증후군은 호르몬에 의한 변화라서 답이 없습니다. 균형 잡힌 식사, 가벼운 운동, 충분한 휴식이 최선이지요.

이이호 의사

외과 전문의 답변수 9980

건강지킴이 

창원파티마병원

생리전 증후군은 여성들이 생리 시작하기 전에 몸이 겪는 증상으로, 대개는 생리가 시작되기 전 1-2주 전부터 시작됩니다. 이 증상들은 생리가 시작되면 점차적으로 사라지게 됩니다.

생리전 증후군의 증상 중 일부는 다음과 같습니다.

두통
가슴의 통증 또는 불편감
체중 증가
피로감
우울감 또는 불안감
가스 및 속쓰림
구토 또는 소화 불량
혈압 변화
손과 발의 부기
생리전 증후군의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식이요법 : 생리전에는 간단하면서도 영양가 있는 식사를 하고, 고칼슘 식품과 비타민 D를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운동 : 생리전에는 꾸준한 운동이 체중 조절과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됩니다.
스트레스 관리 : 생리전 스트레스를 줄이는 다양한 방법을 시도해보세요. 명상, 요가, 태극권 등이 그 예입니다.
휴식 : 생리전에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잠을 충분히 자도록 노력하세요.
의학적 치료 : 만약 증상이 매우 심하거나 일상생활에 지장을 준다면 의학적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위의 방법을 시도해보고도 증상이 계속되거나 심해진다면 의학적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의사와 상담하여 적절한 치료법을 찾아봅시다.

Q&A 다른 질문

후다닥 건강 알림

알럿창 내용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