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수면제를 복용해야 할지 몰라 선생님들께 여쭤봅니다.
Q1 잠을 청하는데 잠이 오지 안을경우
Q2 잠은 잘 드는데 새벽에 1-2번씩 깨는경우, 깼다가 다시 잠은 잘 드는 경우
Q3 수면 후 새벽에 깼는데 다시 잠이 오지 않는경우
신**
작성일 2023.04.26
조회수 534
강혜훈 의사
건강지킴이
Q1관련,잠을 자고 싶은데 잠이 오지 않은 경우는 수면개시장애입니다. 낮 시간동안 활동을 하면서 피부의 광합성을 통해 저녁즘 생체시계인 멜라토닌 성분의 분비를 도모하여 수분을 취하게 하는 것이 좋은 방법입니다. 멜라토닌 분비가 원활하지 않을 경우 경구약 복용도 가능합니다.
Q2,3 잠이 들었지만 중간에 깨서 다시 잠이 오지 않은 경우, 수면유지장애입니다. 우선 수면제도 있지만 저용량 안정제를 중간에 깨서 잠이 오지 않은 경우 복용하였다가 수면을 취하는 것을 권고드리며, 우선 수면을 시작할 때 중간에 깨지 않을 조건을 만든 이후 수면을 취하는 것을 권합니다.
최윤형 의사
건강지킴이
안녕하세요
수면장애도 여러 종류가 있을 수 있는데 수면 입면과 유지에 문제가 있으신 것 같습니다. 수면제나 수면유도제 종류가 여러가지 있으며 환자분의 상황에 따라 선택해야하므로 자세한 문진 등이 필요합니다. 신경과나 정신과 등의 수면 클리닉 진료를 권유해드립니다.
김경남 의사
건강지킴이
안녕하세요
불면증은
-잠이 잘 오지 않거나 잠드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는 ‘수면개시장애’,
-잠을 중간에서 자주 깨거나 한번 깨면 잠이 잘 오지 않는 ‘수면유지장애’,
또는 새벽이나 이른 아침에 잠에서 깨서
다시 잠들지 못하는 등의 증상입니다.
일반적으로 비약물적 치료를 먼저 고려하게 되는데,
대표적인 비약물적 치료방법은 ‘인지행동치료'입니다.
보통 5주 ~ 8주 정도 지속되는 이 치료기간 동안
잠을 자는 시간을 조정하고 잠에 대한 집중적인 교육 및 훈련을 받게 되며,
약물치료로는 단기간 수면제를 복용하는 것을 너무 두려워할 필요는 없습니다.
수면제 복용으로 건강한 본래의 수면 습관이 회복된다면
약을 줄이거나 중단할 수 있으며,
만약, 수면제 복용에도 불구하고
불면증상이 3주 이상 지속되거나,
수면제를 먹을 때의 효과가 떨어지거나
약을 복용했을 때 부작용이 의심되는 상황이 생긴다면
다른 치료방법을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건승하세요
박상명 의사
건강지킴이
만성 불면증의 경우 본인에게 맞는 치료 및 투약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수면 클리닉이나 정신건강의학과 상담후 수면위생 개선 및 적절한 처방을 받으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김용중 의사
건강지킴이
멜라토닌이 비급여이고 처방없이 구매가능하니 써보시고, 말씀하신 수면에는 입면장애 및 유지장애가 있고 수면제는 벤조디아제핀계 성분 트리아졸람 과 비벤조디아제핀계 성분 졸피뎀 이 있어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주치의 상의후 처방받으시길 바랍니다.
김현웅 의사
건강지킴이
안녕하세요
잠이 잘 오지 않는 입면 장애의 경우 먼저 추천드리는 것이 졸피뎀입니다
하지만 장기간 복용은 주의해야 하기에 전문의 선생님과 상의 후 처방 받으시는 것을 조언드립니다
수면 유지 장애는 약물요법에만 의지하지 말고 수면 무호흡증과 같은 기질적인 문제가
있는지 확인이 필요하기에 검사 후 필요한 약물과 치료를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이이호 의사
건강지킴이
수면 문제에 대해 질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일반적으로 수면 문제는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증상에 따라 적절한 치료법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또한, 수면제는 장기간 복용 시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전문의와 상담하여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Q1. 잠이 오지 않을 때
잠이 오지 않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불면증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경우, 불면증의 원인에 따라 적절한 치료법이 달라질 수 있으며, 치료법으로는 수면 거부 행동 치료, 심리치료, 약물치료 등이 있습니다. 약물치료의 경우, 수면제 중에서도 짧은 시간 동안 효과가 지속되는 짧은 작용형 수면제와 장기간 복용 시 부작용이 적은 긴 작용형 수면제가 있습니다. 적절한 수면제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전문의와 상담이 필요합니다.
Q2. 새벽에 1-2번씩 깨는 경우
새벽에 깨는 경우에는 수면 구조의 문제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경우, 수면 유도제나 수면 유지제를 복용하여 적절한 수면 구조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다만, 수면 유지제는 수면 중간에 효과가 사라져 갑작스러운 깨어짐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전문의와 상담하여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Q3. 새벽에 깨고 다시 잠이 오지 않는 경우
새벽에 깨고 다시 잠이 오지 않는 경우에는 수면 중간에 깨어있는 경우와 비슷한 증상이므로, 수면 유지제나 수면 거부 행동 치료 등이 적절한 치료법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수면 유지제는 갑작스러운 깨어짐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종합적으로, 수면 문제는 증상에 따라 다양한 치료법이 있습니다. 따라서, 전문의와 상담하여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수면 환경 개선, 생활습관 개선 등을
임계홍 의사
건강지킴이
안녕하십니까
수면에는 입면장애 & 유지장애로 나뉩니다.
수면제는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인 트리아졸람 과 비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은 졸피뎀 으로 나뉩니다.
최근에는 비급여약제인 멜라토닌도 쓴다고는 합니다만..
정신과 상담받아보십시요
Q&A 다른 질문
-
Q
명치가 쓰리고 불편한데 무슨 병인가요?A
상기 증상이 있다면 위장관 질환이나 담낭/췌장 질환을 감별해야 합니다. 증상이 지속된다면 위내시경과 복부 초음파 검사가 필요하므로 내과 진료를 권해드립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
Q
대변에 피가 묻어 나오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A
혈변의 원인은 대부분 치핵과 같은 항문 출혈인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대장 질환에 대한 감별이 필요하므로 대장내시경 등 검사를 권해드립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
Q
숙취가 심할때 병원에 가면 도움이 되나요A
진료를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