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르페스는 볼이랑 손 만지만 증상 없을 때에도 접촉으로 감염될 수 있나요
김**
작성일 2023.04.27
조회수 1322
김경남 의사
건강지킴이
안녕하세요.
헤르페스 1형과 2형은 손상된 피부나 점막이 바이러스에 노출되었을 때 주로 감염이 일어납니다.
둘다 접촉을 통해 전파되는 공통점을 갖고 있지만
헤르페스 1형은 면역력 저하나, 과도한 스트레스,
월경 시기의 호르몬 변화로도 충분히 생겨날 수 있고
헤르페스 2형은 헤르페스 바이러스 보균자와의 성적인 접촉에 의해서
바이러스가 주로 전파되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헤르페스 1형은 누구나 흔하게 걸릴 수 있는 질환으로,
감기에 걸리거나 면역력이 떨어졌을 때 입가에 생기는 물집이 생기는 증상입니다.
대부분의 사람은 별다른 증상 없이 지나가지만 전염력을 갖고 있어
식기를 같이 쓰거나 수건을 같이 쓰는 일을 통해 전파될 수 있습니다.
헤르페스 2형은 성관계를 통해 전파되는 질환으로
전염이 되면 주로 성기 주변에 물집이 생기거나
생식기 부위 통증, 가려움, 화끈거림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건승하세요
임계홍 의사
건강지킴이
안녕하십니까
헤르페스 감염은 접촉을 통해 바이러스 전파 될수 있습니다.
수건을 같이 사용한다거나 신체접촉을 통해서도 말이지요
감사합니다. 쾌유를 빕니다.
장은호 의사
건강지킴이
보통은 수포가 형성되고 수포가 터지면서 바이러스가 피부에 묻게 되고 이런 상태에서 타인이나 다른 부위를 접촉하게 되면 감염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손씻기 잘 해주시는 것이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김용중 의사
건강지킴이
헤르페스는 매우 전염성이 높고, 궤양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또한 때로는 궤양을 볼 수 없는 경우에도 헤르페스에 감염된 사람의 구강(구강 부위) 또는 생식기와의 접촉을 통해 감염될 수 있습니다.
이이호 의사
건강지킴이
헤르페스 바이러스는 접촉으로 전파됩니다. 특히 피부나 점막의 상처가 있는 부위와 직접적인 접촉이나 감염자의 분비물에 노출되면 전파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헤르페스 바이러스는 감염자가 발작을 일으키지 않는 경우에도 전파될 수 있으므로, 감염 예방을 위해서는 개인 위생을 철저히 관리하고, 감염자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피해야 합니다.
김현웅 의사
건강지킴이
안녕하세요
단순 포진 헤르페스의 경우 잠복해 있다가 스트레스나 외상 자외선등에 의해 재활성화 되어 반복적으로 발생하게 됩니다
무증상 시기에는 감염력이 없으면 홍반과 수포로 바이러스 활동이 왕성할때
접촉 시 옮길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