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감은 전염성이 있는 걸로 알고 있는데요,
(기침, 콧물 등의 증상은 남아있어도) 체온이 정상으로 돌아오면 전염성도 사라지나요?
안**
작성일 2023.05.21
조회수 8692
강혜훈 의사
건강지킴이
독감도 바이러스성 질환이므로 전염력을 가지는 시기는 대략 1주정도라고 생각하시면됩니다. 가족중 1명이 감염이되면 차례로 감염이 되는 경우가 자주 있으며, 시간의 차이를 두고 감염되는 경우를 생각해 볼때 1주안으로 대부분 감염이 되고, 이후 회복하는 추세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최연철 의사
건강지킴이
안녕하세요. 인플루엔자(독감)의 감염력에 대해 궁금하신 듯합니다.
일반적으로 인플루엔자(독감)의 감염력은
증상이 시작되기 1일전부터 발병 후 5-7일 정도입니다.
단, 발열 등의 증상이 오래 유지되면 감염력도 지속될 수 있습니다.
궁금증 해소에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홍인표 의사
건강지킴이
독감의 격리기간은 확실하게 정해진 것은 없지만 해열제 복용없이 열이 떨어지고 24시간이 지날 때까지 입니다.
김경남 의사
건강지킴이
안녕하세요
#요약
1. 요즘 인플루엔자(독감) 격리 기간은
(해열제 복용 없이) 발열이 떨어진 24시간 후에 격리 해제할 수 있습니다.
2. 5일이 되지 않았더라도, 발열 증상이 해열제와 상관없이 24시간 동안 없었다면
다니던 곳을 그냥 가면 됩니다.
인플루엔자 환자의 (자택)격리 기간은
-증상 발생 5일 후 또는
-(해열제 복용 없이) 발열이 떨어진 24시간 후에 격리 해제할 수 있습니다.
전자가 설명하기 간편하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는 기준이며,
환자가 빠른 출근 또는 등교를 원할 경우 면밀한 증상 관찰 후
해열 24시간 후에 격리를 해제할 수 있습니다.
인플루엔자 환자의 나이나 상태에 따라 전염기간에 차이가 날 수 있는데,
성인의 경우 대개 증상이 생기기 하루 전부터
증상이 생긴 후 약 5일 동안 감염력이 있으나
소아의 경우에는 증상 발생 후 10일 이상 감염력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건승하세요
이이호 의사
건강지킴이
독감은 전염성이 있는 질병입니다. 감염된 사람은 기침, 재채기, 콧물 등 호흡기 분비물을 통해 바이러스를 환경으로 퍼뜨릴 수 있습니다. 그러나 체온이 정상으로 돌아와도 독감의 전염성이 완전히 사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독감의 전염성은 감염된 사람이 바이러스를 배출하는 기간에 의해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독감 바이러스의 전염성은 증상이 시작되기 전인 발열이 시작되기 24시간 전부터 증상이 사라질 때까지 지속됩니다. 즉, 체온이 정상으로 돌아온다고 해도 바이러스를 다른 사람에게 전파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독감에 걸린 경우 체온이 정상으로 돌아왔다고 해도 다른 사람들을 보호하기 위해 일반적인 예방 수칙을 준수해야 합니다. 이는 적절한 손 씻기, 기침이나 재채기 시 입과 코를 가리는 것, 감염자와의 밀접 접촉을 피하는 등을 포함합니다. 또한, 독감 예방 접종을 받는 것은 전염을 예방하고 건강을 보호하는 중요한 조치입니다.
결론적으로, 체온이 정상으로 돌아왔다고 해도 독감의 전염성이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감염 예방을 위해 조심하고 예방 수칙을 준수해야 합니다.
임계홍 의사
건강지킴이
안녕하세요
케바케 입니다.
발열증상이 없다해서 전염력이 없는건 아닙니다.
하지만 독감진단후 타미플루나 페라미플루 주사 처치후 보통 3-4일정도 되면 전염력은 많이 떨어지는거 같습니다.
답변이 되셨다면 추천 쿡 눌러 주세요
김현웅 의사
건강지킴이
안녕하세요
독감의 전염성은 일반적으로 증상이 시작되기 전날부터 5 일에서 7 일 후까지 전염성이 있습니다
열이 떨어져도 이 기간동안은 조심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