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한증 치료은 어떻게 하나요 어느과에 가야되죠
허**
작성일 2023.06.13
조회수 433
KWON YOUNGMANN 의사
건강지킴이
1) 염화 알루미늄제제
도포제인 염화알루미늄액을 환부에 바르면, 땀이 나오는 피부의 에크린 땀샘에 염화알루미늄액이 젤리 형태의 막을 형성하여 땀구멍을 막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중증인 경우, 염화알루미늄액을 바른 후에 고무장갑이나 랩 등으로 밀폐하는 밀봉요법이 검토되기도 합니다.
이 치료법은 손바닥이나 발바닥, 겨드랑이, 머리, 안면 등에 발생하는 다양한 다한증에 고려될 수 있습니다. 밤에 취침 전에 바르면 다음날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땀이 나기 전에 사용하는 치료제입니다.
2) 항콜린제 - 환부에 발라서, 발한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아세틸콜린의 작용을 억제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염화알루미늄제제와는 달리, 이미 발한이 시작된 상태에서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 유용성이 있다고 합니다.
3) 이온영동치료 - 이온영동치료는 전기의 극성을 이용해 이온 상태의 약물을 땀이 나는 국소 부위에 투여하는 치료법으로, 물이 담긴 용기 안에 환부를 담그고, 전류를 흘려보냅니다. 전류를 흘려보내면 피부에 이온이 침투하는 원리를 이용한 치료법이라고 합니다.
보통 1회에 20~30분 정도 치료를 하는데, 사람에 따라 횟수에는 차이가 있어서, 10여 차례 이상 치료를 해야 효과가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주로 손바닥이나 발바닥의 다한증 치료법으로 고려할 수 있다고 합니다.
4) 다한증 수술 - 흉강경하 흉부 교감신경 절제술(ETS)
다한증 치료법 중 하나인 흉강경하 흉부 교감신경 절제술(ETS)은, 흉부 내부를 관찰하면서 교감신경을 절제하는 치료법입니다. 다한증은 흉부의 교감신경의 활동이 발작적으로 활발해져, 발한 명령이 교감신경을 통해 손이나 얼굴, 겨드랑이 밑 등 특정 부위에 전달되어 다한 증상으로 변하는 질병입니다. 따라서 이 활동력이 높아지는 병적인 교감신경을 절제함으로써 다한증의 치유를 기대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최근에는 흉강경을 사용하는데, 병원이나 의사에 따라 다르겠지만, 보통 1개소 3~4mm 정도의 피부를 절개합니다. 수술은 전신 마취를 하고 이루어지며 치료시간은 흉부 한쪽에 20~40분 정도라고 합니다. 환자의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당일 수술을 하게 됩니다.
이이호 의사
건강지킴이
다한증이 주로 손과 발에 나타나는 과다한 땀 분비(Excessive sweating) 증상과 관련이 있다면, 주로 흉부외과나 피부과등을 찾아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문의는 다한증과 같은 과다한 땀 분비 증상을 평가하고 진단하여 적절한 치료 방법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다한증에 대한 상세한 병력을 듣고 증상의 정도와 빈도, 기타 관련 증상 등을 평가합니다. 그리고 신체 검사와 관련 검사를 통해 다한증의 원인을 확인하고,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치료 방법은 다한증의 원인과 심각성에 따라 다양할 수 있습니다. 흔히 사용되는 다한증 치료 방법으로는 약물 치료, 안내 방법, 보톡스 주사, 수술 등이 있습니다. 의사는 개별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치료 방법을 결정할 것입니다.
따라서, 다한증과 관련된 과다한 땀 분비 증상을 경험하고 있다면 전문의를 찾아 상담하고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의사는 상황을 평가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적절한 치료로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손종우 의사
건강지킴이
다한증은 부위에 따라 다르나 대체로 피부과, 흉부외과, 성형외과 등에서
치료할 수 있으며
다한증의 원인이 호르몬 이상으로 발생한 경우에는 내분비 내과에서
진료를 받는게 좋습니다.
채홍석 의사
건강지킴이
다한증의 치료는 침습적인 치료와 비침습적 치료가 있는데요.
비침습적인 치료에는 약물요법, 전기영동법 등이 있어요.
약물은 먹는 것과 바르는 것이 있구요. 보톡스를 사용하기도 해요.
전기영동법은 전기를 사용하여 피부에 직접 약물을 침투시키는 것인데 손, 발 등에 주로 사용해요.
침습적인 치료로서 교감신경절제술, 요부 교감신경 차단술, 액와 땀샘 제거술 등이 있어요.
흉부외과나 성형외과에서 치료해요.
이동균 의사
건강지킴이
약물치료도 있고 심하다면 흉부외과에서 교감신경차단술이라는 간단한 수술로 치료가 가능합니다.
요즈음은 피부과에서 보톡스로도 치료가 가능하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