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 건강검진을 받았는 데, 고혈압 리스크가 있다고 나왔습니다.
선생님께서 약을 복용하는 게 좋다고 하는데, 혈압약 한번 먹으면 평생 먹어야 하는데.. ㅠㅠ
혈압약을 바로 먹어야 할까요?
김**
작성일 2019.12.02
조회수 287
김용중 의사
건강지킴이
고혈압 약물치료는 위험인자 또는 동반 질환 유무에 상관없이 혈압이 140/90 이상인 환자에게 시행할 수 있습니다.
약물치료의 효과가 입증된 혈압을 고혈압으로 정의하기 때문에 ‘140/90 이상일 때는 고혈압약을 꼭 복용하도록 권장됩니다.
보통의 경우는 칼슘채널차단제라는 가장 안전하고 효과가 좋은 1가지 제재로 치료를 하게 될 것으로 사료됩니다.
추후 가까운 의원에 방문하셔서 고혈압 예방 및 치료에 대해 상의하시길 권유드립니다.
김경남 의사
건강지킴이
대한고혈압학회의 진료지침(2018)에서는
고혈압 약물치료는
위험인자 또는 동반 질환 유무에 상관없이
혈압이 140/90 이상인 환자에게 시행할 수 있다
고 명시돼 있습니다.
고혈압 1기냐 2기냐와 상관없이 고혈압이면 약을 복용하라는 것입니다.
고혈압 전 단계에서
약물치료를 시행하면
고혈압으로 진행되는 속도를 늦출 수는 있지만
대부분의 연구에서 조기 약물치료의 효과에 대한 증거가 부족하기 때문에
약물치료의 효과가 입증된 혈압을
고혈압으로 정의하기 때문에
‘140/90 이상일 때는 고혈압약을 꼭 복용하도록 권장됩니다.
최원석 의사
건강지킴이
제가 환자분들께 즐겨하는 표현입니다만, "혈압약이 무슨 중독성이 있어 혈압약을 한번 시작하면 평생먹는게 아니고,
고혈압이 평생가기때문에 혈압약을 계속 복용합니다."
혈압이 높은채로 내버려두니, 당장 불편은 없으되, 혈관이 지속적으로 손상을받아 10년, 20년, 30년 지나면서 뇌경색, 협심증, 신부전, 심부전 등등의 합병증이 발생합니다.
이미 합병증이 발생한 10년, 20년후에는 혈압을 조절해도, 더이상 합병증 진행하는것을 막는것이지, 이미 발생한 손상을 회복시켜주는것은 아니기에, 현재 혈압을 조절하는것이 중요합니다.
다만, 질문하신분께저 정말 고혈압인지 확인하는 작업은 신중하게 할 필요가 있으므로, 인터넷에서 자동혈압계를 이용해 혈압측정하는 요령을 검색해 , 요령을 습득하신후
주 2-3회 본인의 혈압을 체크해서 메모하신후, 1-2개월치 혈압측정기록이 모이면 집근처 동네 내과를 찾아가서 보이고, 고혈압이 맞는지 확인해달라고 요청해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