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상세

30개월 여아 5단계고양이알러지가있어요
신생아때부터 고양이랑커서그런지 얼굴을파묻고 부비지않는이상 저희집고양이하고는 알러지반응이없엇는데
어젯밤에 고양이랑붙어 자서 그런지 눈을계속긁고 콧물기침하느라 잠을설쳣습니다
아침에 눈이부은걸 확인하고 집에있던 알러지약을 투약후 어린이집에갓는데 더이상 긁거나 간지러워하는모습은 보이지않는다고합니다.
그런데 눈이 오전보다 조금더부어있는것 같다는데
이런상황에 병원을가야할까요?
간다면 안과?소아과?어디로갈까요
또 다른집고양이는 알러지가 바로심하게오지만
저희집 고양이하고는 만지고놀아도 평소에 알러지반응이없는데 같이키우는게 아기한테 크게안좋을까요...?

김**

작성일 2022.03.04

조회수 668

이효석 의사

안과 전문의 답변수 1712

건강지킴이 

밝은안과21의원

안과로 가시는게 좋을 듯 하고, 명확하게 알러지 유발하는 이벤트가 있는 이상 좋지는 않을 듯 합니다.

최연철 의사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답변수 1258

건강지킴이 

학교법인가톨릭학원가톨릭대학교서울성모병원

안녕하세요. 아기의 고양이 알레르기로 걱정이신듯 합니다.

아기에게 고양이 알레르기 관련 증상이 있고, 검사에서도 높은 수치로 고양이 알레르기가 확인된것으로 파악됩니다.

이와 같은 경우 현재의 증상(각결막염과 비염)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동반될지도 모르는 천식이나 피부염 등을 예방하기 위해 고양이와의 접촉을 하지않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현재 치료를 위해서는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또는 안과 전문의의 진료 모두 가능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아이가 잘 회복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김경남 의사 이미지

김경남 의사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답변수 44049

건강지킴이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고양이의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은
주로 침, 피지선, 털 등에서 발견되는데,
그중 가장 많이 발견되는 부위는 피지선입니다.
피지선 (sebaceous gland) 에서 나오는 Fel d 1 이라는 물질이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주 원인입니다.


피지선은 고양이 털이 나오는 모낭의 옆에 위치하며
기름 성분을 분비하는 기관입니다.
피지선과 모낭이 가까이 있어 Fel d 1 은 털에 많이 묻어 있어 털에도 반응을 하는 겁니다.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에는
본인이나 가족의 알레르기성 호흡기 증상이나 피부 증상이 계속 반복될 수 있으며
점점 나빠져 천식 발작과 같은 중증 상태로 진행될수도 있습니다.

고양이 알레르기 검사는 병원에서 혈액검사(MAST, Unicap)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성 두드러기가 나타나면
가까운 소아청소년과에서 진료 후 처방받은 약을 복용하면
복용 중에는 쉽게 호전됩니다.

김현웅 의사

피부과 전문의 답변수 19436

건강지킴이 

김현웅피부과의원

안녕하세요
면역체계는 흐르는 물과 같아서
태어날 때부터 특정요인에 알레르기가 없었어도
커가면서 알레르기가 생길 수 있습니다

기분이 좋을때는 기분나쁜말을 들어도 그냥 웃고 넘어갈 수 있지만
기분이 나쁠때는 작은 자극에도 화를 낼 수 있는 것처럼

지금 예민해져 있는 면역체계 상태에서 계속 고양이에 노출된다면
점점 더 알레르기 반응이 심해질 수 있기에
제 환자라면 고양이와 함께 키우지 않도록 조언드릴것 같습니다

그리고 가렵지는 않아도 눈이 부워있다면
알레르기가 남아 있는 것이기에
안정화를 위해서 가까운 소아과나 피부과에 가셔서
진료 보시고 치료 받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두드러기를 치료하는 항히스타민제는
장기 복용해도 매우 안전한 약물이니
걱정 마시고 치료 받으시면 좋겠네요

건강 지키시는 3월 보내시기를 바랍니다

Q&A 다른 질문

후다닥 건강 알림

알럿창 내용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