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상세

정기 검진으로 피검사를 하니 PSA 수치가 2.95 나왔습니다.
작년 수치가 0.71 나왔는데 1년 사이에 2.95 까지 증가 한것에 대해서
무슨 이유로 갑자기 수치가 증가한 것인지 염려스럽습니다
믈론 2.95도 정상 범위에 드는 수치이지만 ...

김**

작성일 2022.08.18

조회수 606

김용중 의사

가정의학과 전문의 답변수 15298

건강지킴이 

노원구보건소

PSA 상승은 간단한 혈액 검사로 PSA 수치를 알아봄으로써 확인할 수 있습니다. PSA가 비정상적인 수치를 보이면 암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전립선 비대증, 전립선염의 경우에도 PSA 수치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성관계(사정) 후 48시간 이내나 방광경 검사, 직장 수지 검사 이후에도 PSA 수치가 약간 상승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PSA 검사는 암을 의심하는 아주 유용한 검사이지만, 이 검사 자체가 암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정상수치내에서의 상승이니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되며 전립선 염증 질환이나 급성 요폐 등과 같은 상태에서도 증가할 수 있으니 증상이 심해지거나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있다면 비뇨기과 내원하셔서 정확한 상태 진단 및 치료 받으시길 바랍니다.

서민석 의사

가정의학과 전문의 답변수 7001

건강지킴이 

가톨릭대학교인천성모병원

수치가 증가했다고 해도 정상 범위라면 전혀 문제되지 않습니다.

김경남 의사 이미지

김경남 의사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답변수 42734

건강지킴이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안녕하세요

**요약:
1. PSA 수치가 전립선암 외에
다양한 전립선 질환이나 급성 요폐 등과 같은 상태에서도 증가할 수 있습니다.
2. PSA 수치의 정상 범위는 1.0~3ng/mL입니다. 10ng/mL 이상이면 암일 확률이 50% 이상입니다.**

PSA(전립선 특이항원)는 전립선에서만 생성되는 단백질로 정액의 액화에 관여하며,

PSA는 전립선 조직, 특히 전립선, 도관의 내공 상피, 전립선 분비물에 존재하고
전립선에서만 나온다고 해서 전립선 특이라고 하며,

PSA 상승은 이러한 특이항원이 상승하는 질환을 말하는데,

-전립선 비대증,
-전립선염의 경우 에도 PSA 수치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성관계(사정) 후 48시간 이내
-방광경 검사, 직장 수지 검사 이후 에도 PSA 수치가 약간 상승할 수 있습니다.

PSA 검사는 암을 의심하는 아주 유용한 검사이지만,
이 검사 자체가 암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전립선 피검사 PSA 수치가 10.0ng/mL가 넘는다면
전립선 암의 위험도가 있음을 의미합니다.

4.0 ng/mL 에서 10.0 ng/mL 사이의 수치는
전립선 암(미국암학회에 따르면, 25% 정도),
양성 전립선비대증 또는 전립선염을 가리킵니다.

초음파검사상 전립선 크기가 30ml 이상 또는
직장수지검사상 중등도 이상의 양성 전립선비대증 소견이 있거나,

혈청 전립선특이항원(PSA) 수치가 1.4ng/ml 이상이면
전립선비대증 치료제인 '피나스테리드'가 보험처방이 가능합니다.

건승하세요

Q&A 다른 질문

후다닥 건강 알림

알럿창 내용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