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상세

잠복결핵이라는데 어떤 치료를 받아야 할지, 주의할 점 알려주세요. 그리고 급여항목은 100% 국가부담 맞나요?

최**

작성일 2022.10.24

조회수 124

김경남 의사 이미지

김경남 의사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답변수 44462

건강지킴이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안녕하세요.

#요약
1. 치료는 결핵약 복용입니다.
2. 나라에서 무료로 지원해 줍니다.

결핵균에 감염되면 대부분 증상이 없는 잠복결핵감염 상태로 지내다가,
이 중 약 5~10%에서 결핵이 발병합니다.

잠복결핵의 치료는
이소니아지드 9개월 요법(9H),
이소니아지드/리팜핀 3개월 요법(3HR),
리팜핀 4개월요법(4R) 이 있습니다.

잠복결핵 시기에 치료하면 최대 90%까지 예방효과가 있습니다.

건승하세요

김용중 의사

가정의학과 전문의 답변수 15455

건강지킴이 

노원구보건소


잠복결핵감염의 치료방법은 결핵약 중에 아이나 혹은 리팜핀 단독, 또는 두 가지 약을 병합한 치료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아이나 단독인 경우 9개월, 리팜핀 단독으로 4개월, 아이나와 리팜핀을 병합하여 3개월 사용할 수 있는 요법 등을 권유하고 있습니다. 잠복결핵감염의 치료를 받게 되는 경우 결핵 치료와 마찬가지로 결핵약의 부작용 발생에 대해서 주의하여야 합니다. 결핵환자의 경우 결핵으로 진단받기 전에 많은 사람들에게 결핵균을 전염시킬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잠복결핵감염 치료를 통하여 결핵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는 것은 중요한 조기 결핵퇴치를 위해서 중요합니다. 그렇지만 잠복결핵감염 치료가 쉽지 않고 잠복결핵감염 치료를 하더라도 결핵 발생을 완전히 예방하지 못하므로 잠복결핵감염 치료 대상자의 선정 기준은 국가마다 다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밀접 가족 접촉자의 경우 35세 미만의 연령 모두와 35세 이상의 경우 결핵 발병의 고위험군에 대해 우선적으로 잠복결핵감염 검사와 치료를 권고하고 있습니다. 또한 35세 이상이라도 접촉의 강도가 높을 경우잠복결핵감염 검사와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고위험군이란 장기간 면역억제제 혹은 스테로이드를 복용하고 있거나 예정인 환자, 후천성 면역결핍증 (AIDS) 환자, 당뇨병, 만성신부전, 과거 결핵을 치료한 적이 없으나 흉부방사선 사진에서 자연치유된 흔적이 있는 경우 등이 있습니다. 결핵의 경우 반드시 치료를 받아야 하지만 잠복결핵감염 치료의 여부는 주치의와 상의하여 결정하시면 됩니다.

Q&A 다른 질문

후다닥 건강 알림

알럿창 내용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