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절된 자리는 뼈가 다 붙은 후 더 단단해진다고 들었는데 맞나요?골절 후 후유증이 남지 않으려면 뭘 주의해야 하나요?
이**
작성일 2023.01.26
조회수 412
안소연 의사
건강지킴이
신체 부위별로 고정 기간이 있습니다. 그것만 잘 지켜주신다면 별다른 후유증은 남기지 않습니다.
고정 유지 기간
손상 정도와 위치, 골절의 전이 정도, 그리고 환자의 연령에 따라 골절 치료 기간은 모두 다릅니다. 예를 들어 고관절 골절의 경우 신생아는 3주, 8세에는 8주, 12세에는 12주, 그리고 성인은 약 20주 정도의 유합 기간이 필요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성인을 기준으로 부위별 유합 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손가락뼈는 2주, 손목뼈는 6-10주, 팔뼈는 8-12주, 허벅지 뼈는 16-20주, 다리뼈는 12-16주, 발목뼈 6-10주, 발가락뼈는 4-6주 정도의 유합 기간이 필요합니다. 또한 고정을 유지하는 기간 이후, 즉 깁스를 푼 이후에도 재활의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예전과 같이 골절을 입은 부위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1개월 이상의 추가 기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김경남 의사
건강지킴이
안녕하세요
뼈가 아물면서 뼈 성분을 만드는 조골세포가 더 많이 활동해
뼈가 굵어져 골절 부위의 강도가 더 단단해질 수 있습니다.
상처가 아물면서 불필요한 조직이 더 많이 생기는 것입니다.
때린데 또 맞으면 아프듯이 골절에 주의해야 합니다.
건승하세요
Q&A 다른 질문
-
Q
속이 더부룩할때 어느과를 가야 하나요A
일단 자주 이용하시는 동네 가정의학과나 내과를 가셔서 진료받으신 후 그곳에서 필요한 검사와 치료받으시고 그 다음 단계로 의원원장님께서 필요시 추천해주시는 곳으로 가시면 되갰습니다. -
Q
소화가 안될때 탄산수가 도움이 되는지 궁금합니다A
일시적으로 도움은 됩니다. 그러나 기저질환(위염 이나 위식도 역류질환등) 을 악화시킬수도 있으므로 증상이 자주 반복되면 가까운 내과를 방문하셔서 내시경이나 초음파 해보실것을 권합니다 -
Q
때를 자주밀명 안좋은가요A
좋지않습니다. 표피 바깥층은 우리 피부를 보호하는 작용을 하므로 자주 벗겨내면 건조해서 가려움증이 발생하거나 긁어 상처나면 감염에 취약해질 수 있습니다. 특히 알러지피부이거나 아토피성이 있는 경우는 하지 않으실것을 권하고 민 다음에는 피부 보습을 충분히 하시길 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