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원인
희발월경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우선 여성호르몬 분비의 부족이나 여성호르몬의 불균형 등과 같은 기능적 원인이 가장 많습니다. 기능적 원인이라는 것은 환자의 몸 상태를 의미합니다. 시상하부 및 뇌하수체의 이상, 내분비 기능 장애, 갑상선 기능 이상 등이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 난소 기능 부전과 무배란이 원인인 경우도 많습니다. 이외의 원인으로는 인공 유산 시술을 자주 하거나 자궁 결핵 등으로 자궁 내막의 많은 부분이 소실되는 것 등이 있습니다.
증상
희발월경으로 인해 난소 기능이 나쁘다면 두통, 어깨 결림 등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하지만 전혀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치료
희발월경은 환경 변화나 심리적인 원인에 의해 나타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런 경우에는 안정을 찾으면 증상이 회복됩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 중에 임신을 원하지 않는 환자에 대해서는 자궁 내막 보호를 위해 주기적으로 월경을 하려는 목적에서 호르몬 요법을 진행합니다. 임신을 원하는 경우에는 배란 촉진제를 사용해 치료하기도 합니다. 또 체중 조절과 함께 다른 원인이 없는지 확인하여 치료하도록 합니다.
희발월경은 이를 일으키는 원인에 대한 검사와 정확한 진단이 중요하므로, 산부인과 전문의의 진료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경과
희발월경 주기가 여러 번 반복되면 속발성 무월경으로 발전할 수도 있습니다. 월경을 오랫동안 하지 않는 경우 자궁 내막에 병적인 변화가 초래되어 증식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심할 경우에는 자궁 내막암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검사와 진단을 받고 월경을 주기적으로 할 수 있도록 치료해야 합니다. 또한 희발월경 원인이 무배란인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는 불임인 경우가 많습니다.
관련 건강 콘텐츠
관련 건강 Q&A
-
Q
생리를 시작한지 5년이 조금 안되었는데 생리가 갑자기 멈추고 안한지 약 6개월정도 되었습니다. 단순한 생리불순이라기에는 너무 오래 안했는데, 이대로 폐경이 되기도 하나요??A
젊을 때는 생리가 매우 불규칙해질 수 있어요. 그래도 6개월 동안 생리가 없다면 산부인과에서 꼭 확인을 해 봐야 됩니다. 아직 폐경이 되기는 너무 이른 나이라서 조기 폐경 가능성은 매우 낮을 것 같아요. -
Q
생리를 시작한지 5년이 조금 안되었는데 생리가 갑자기 멈추고 안한지 약 6개월정도 되었습니다. 단순한 생리불순이라기에는 너무 오래 안했는데, 이대로 폐경이 되기도 하나요??A
안녕하세요 생리주기에 따른 생리불순의 종류 중에 '희발월경' 이라고 하는게 있는데, 희발월경은 월경 주기가 40일 이상 늦어지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40일 형, 45일 형 등 항상 일정한 간격으로 월경이 나타나는 경우와 부정기적으로 1년에 3~4회밖에 나타나지 않는 경우로 나눌 수 있으며, 희발월경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우선 여성호르몬 분비의 부족이나 여성호르몬의 불균형 등과 같은 '기능적 원인'이 가장 많습니다. 기능적 원인이라는 것은 환자의 몸 상태를 얘기하는건데, 시상하부 및 뇌하수체의 이상, 내분비 기능 장애, 갑상선 기능 이상 등이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고 또 난소 기능 부전과 무배란이 원인인 경우도 많습니다. 이외의 원인으로는 인공 유산 시술을 자주 하거나 자궁 결핵 등으로 자궁 내막의 많은 부분이 소실되는 것 등이 있습니다. 희발월경 주기가 여러 번 반복되면 속발성 무월경으로 발전할 수도 있고, 월경을 오랫동안 하지 않는 경우 자궁 내막에 병적인 변화가 초래되어 증식증이 발생하게 되며 심할 경우에는 자궁 내막암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결국은 정확한 검사와 진단을 받고 월경을 주기적으로 할 수 있도록 치료해야 하며, 희발월경 원인이 무배란인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는 불임인 경우가 많습니다. 건승하세요 -
Q
20대 중반인데 학생 때부터 지금까지 생리불순 때문에 6개월에 한두번? 꼴로 해요 2년 전쯤 병원가서 검사도 해봤지만 피 고인 것도 없이 깨끗하다고 문제없다고 하시더라구요 그리고 그때 생리유도제 처방받았지만 그때뿐이고 여전히 불규칙적으로 하고 있어요 엄마도 30대 초반까지 불규칙했다고 하는데 그냥 유전적인 이유라고 보면 될까요? 아니면 또 병원에 가보는게 좋나요..?A
이미 산부인과에서 충분히 검사를 받으셨다면 특별한 문제는 없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만 피임약을 쓰면서 생리 조절은 해야될 것 같습니다.
기본 정보는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를 참고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