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

[웹진] 구내염 치료제의 올바른 사용방법 - 카드뉴스 브이로그 19부

진료과목 : 이비인후과


입 안 곳곳 생기는 염증성 질환 구내염!

구내염은 입 안에 수포,

궤양 등이 생기는 질환으로

환부가 따갑거나 화끈거리고

심한 통증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주요 구내염의 종류와 원인

재발성 아프타성 구내궤양

-면역체계의 이상, 세균 감염 등이 원인

입안에 흰색의 궤양이 나타남

헤르페스성 구내염

-헤르페스 바이러스에 의해 발병

작은 수포와 출혈 나타남

칸디다증

-곰팡이 감염으로 인해 발생

입 안에 백색 막, 흉반 등이 나타남



구내염 치료제의 제형별 원료&특징

액제 (폴리크레줄렌 액 50% 등)

강한 산성을 띠는 용액

괴사한 부위를 화학적으로

화상을 입혀 탈락시킴

연고제 (덱사메타손, 에녹솔론,

염화세틸피리디늄 등)

스테로이드 또는 비스테로이드 성분의 연

염증을 완화하고 유해균 증식을 억제함

첩부제 (트리암시놀론아세토니드 등)

스테로이드 성분의 국소 환부 접착 외용제

환부를 보호하고 염증을 완화함



가글제 (플루르비프로펜,

클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액, 디클로페낙 등)

비스테로이드 성분의 가글액으로,

염증과 진통을 완화함

액상분무제 (수용성 아줄렌,

포비돈요오드 등)

환부에 분사하는 스프레이 제형으로

염증을 완화하고 살균 효과를 가짐



궁금해요! 구내염 치료제

Q. 바르는 구내염 치료제, 먹어도 될까요?

A. 일반적인 환경에서의 구내염 치료제

소량 섭취는 이상이 없으나,

환부 도포 후에는 물이나 음료,

음식 섭취 등을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Q. 스테로이드 성분 구내염 치료제,

지속 사용해도 될까요?

A. 일반적으로 환부가 나을 때까지

사용해도 무방하나,

스테로이드가 발라진 환부는

일시적인 면역억제상태가 되므로

오히려 환부가 더 커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또 오랫동안 스테로이드 연고 사용 시

구강 내 곰팡이성, 세균성 감염증이

나타날 수 있고, 이 경우 적절한 항진균제,

항균제 등을 병용해야 합니다.







연관 질환백과 바로가기

후다닥 건강 알림

알럿창 내용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