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다닥포스트 상세
[웹진] 유해물질 인체 위해평가, 더 스마트하게 더 안전하게
유해물질 인체 위해평가, 더 스마트하게 더 안전하게
후다닥 꿀팁
- 식약처는 ‘스마트 유해물질 안전관리 혁신 방안’을 2023년부터 2027년까지 5년간 국정과제로 추진할 예정이며, 이번 혁신 방안은 다양한 제품으로부터 기인한 유해물질 총 노출량을 사용자 중심으로 평가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4월 6일 개최한 제20회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논의 및 확정된 ‘스마트 유해물질 안전관리 혁신 방안’을 2023년부터 2027년까지 5년간 국정과제로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혁신방안은 그간 식품‧화장품 등 인체적용제품*(이하 ‘제품’이라고 한다)별로 유해물질의 위해성을 평가해왔으나 사람에게 미치는 유해물질의 노출 총량을 확인하는데 한계가 있어, 다양한 제품으로부터 기인한 총 노출량을 사용자 중심으로 평가하기 위해 마련했습니다. 식약처는 우선 올해부터 ’27년까지 발암〮생식능력 손상․유전독성 등 위해 우려가 높은 유해물질 52종에 대해 얼마나 인체에 영향을 주는지 통합 위해성 평가를 본격 실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인체적용제품 : 식품・의약품・화장품 등 식품의약품안전처 소관 제품
통합 위해성 평가로 유해물질의 위해성이 확인되면 정부는 제품 기준․규격과 대체물질∙저감기술 개발 등 노출원 관리를 강화하고, 업계는 제조공정 개선과 대체물질 사용으로 유해물질 저감화를 위해 정부와 함께 노력합니다. 또한, 국민은 식생활 개선 등 일상생활에서 유해물질 노출량 줄이기를 실천하면 유해물질로부터 보다 안전한 생활이 가능해집니다.
식약처는 또한 2024년부터는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유해물질 평가체계로 전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유해물질을 입력하면 인공지능(AI) 기반의 시스템이 한국인의 생활패턴을 고려한 위해평가 모델*을 자동으로 설계해 유해물질 노출량을 계산하고 위해성에 대한 평가결과를 도출하여 신속‧정확한 평가가 가능해집니다.
* 인구집단별 제품 섭취‧사용에 따른 유해물질 노출 시나리오‧알고리즘 개발
아울러 식약처는 잠재적인 위해요소를 실시간으로 수집‧분석하는 인공지능(AI) 기반 위해정보 수집‧분석‧감시시스템*(K-RISS)을 ’25년부터 구축‧운영합니다.
* K-RISS(Korea Risk Information Surveillance System) : 언론, SNS, 위해정보사이트, 민원정보, 소비자 피해 신고 등 위해정보를 종합적으로 수집‧분석
유해물질에 대한 소비자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제품의 섭취량, 사용빈도 등을 ‘앱’에 입력하면 유해물질 노출원, 노출량 등을 소비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안전 알람 서비스’도 제공할 예정입니다.
오유경 처장은 “온라인 구매, 해외직구 등 소비 환경변화와 신기술 개발에 따른 새로운 유해물질을 사전에 예측하고 차단하기 위해서는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유해물질 안전관리에 대한 혁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식약처는 올해부터 사용자 중심으로 인체적용제품의 유해물질 총량을 평가하는 통합 위해성 평가를 본격적으로 실시하고 유해물질로부터 국민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이번에 마련한 혁신방안을 차질없이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국민의 일상생활에서 노출 가능한 유해물질에 대해 꼼꼼하게 모니터링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한 생활환경 조성을 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WPA2304MM01
후다닥 Reference
유해물질 인체 위해평가, 더 스마트하게 더 안전하게, 식약처 보도자료 [2023.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