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다닥포스트 상세
[웹진] 모기에서 말라리아 원충 확인, 말라리아 조심하세요!
모기에서 말라리아 원충 확인, 말라리아 조심하세요!
후다닥 꿀팁
- 매개모기에서 삼일열말라리아 원충 감염이 확인되었습니다.
- 말라리아 위험지역 거주 및 여행객은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모기 물림을 주의하여야 합니다.
이에 따라 말라리아 감염위험을 줄이기 위해 위험지역 지자체에서는 매개모기 흡혈원 역할을 하는 축사에 모기 포집기 가동 및 주변 풀숲에 대한 살충제 잔류처리 등 방제를 강화하고, 위험지역 주민과 여행자는 매개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야간 활동 자제, 긴 옷 착용 및 기피제 사용, 취침 시에는 방충망(모기장)을 적극 활용할 것을 당부하였습니다.
그간 질병관리청에서는 말라리아 매개모기 조사감시사업*을 통해 말라리아 유행 감시를 수행 중에 있으며, 28주차(7.9~15)에 파주지역에서 채집된 매개모기(얼룩날개모기류;Anopheles spp.)에서 삼일열말라리아 원충 유전자가 확인(1 pool; 10마리) 되었습니다. 이는 2022년 37주 대비 9주, 2021년 32주 대비 4주 빠르게 확인된 것입니다.
* 국방부 및 인천광역시, 경기도 북부지원, 강원도 보건환경연구원과 협력하여 50개 지점에서 4월부터 10월까지 말라리아 매개모기 발생밀도 및 원충감염을 감시하는 사업
최근 국내 말라리아 환자는 7월 29일 기준 총 417명이 신고되었으며, 전년 동기간(190명) 대비 2.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23년 말라리아 주간소식지(30주차) 참고 : 질병관리청 감염병 누리집(https://npt.kdca.go.kr) → 발간자료 → 주간소식지 → 2023년 말라리아 주간소식지(매주 목요일 등록)
지역별로는 경기(62.4%), 인천(15.1%), 서울(12.5%), 강원(3.8%) 순으로 환자가 발생하였으며, 역학조사 결과 추정감염지역은 경기(파주시, 김포시, 연천군), 인천(강화군), 강원(철원군)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질병관리청 지영미 청장은 “말라리아 매개모기에서 양성이 확인되었고, 환자 발생이 증가하고 있으므로 위험지역의 거주자 및 휴가철 여행객의 경우 말라리아 예방수칙을 준수” 할 것을 당부하였고, “말라리아 의심 증상(발열, 오한 등) 발생 시 보건소 및 의료기관 등을 방문하여 신속히 검사 받을 것”을 강조하였습니다.
< 말라리아 예방수칙 >
◈ 국내에서는 모기가 활발하게 활동하는 4월부터 10월까지 야간(일몰 직후 ~일출 직전)에는 야외 활동을 가능한 자제
◈ 야간 외출 시에는 긴 소매, 긴 바지를 착용하고, 얼굴 주변을 피해 모기 기피제를 뿌려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개인 예방법 실천
◈ 옥내의 모기 침입 예방을 위해 방충망의 정비 및 모기장 사용을 권고하고, 실내 살충제를 적절히 사용할 것
◈ 말라리아 위험지역에 거주하거나 여행, 군 복무 후 발열, 오한, 두통 등의 증상이 발생하면 즉시 가까운 의료기관에서 진료 받을 것
< 말라리아 의심증상 >
◈ 말라리아의 주요 증상은 오한, 고열, 발한 등이 48시간 주기로 반복됨
◈ 초기에는 권태감 및 발열증상이 수일간 지속되며, 두통이나 구토, 설사 등을 동반할 수 있음.
WPA2308MH01
후다닥 Reference
모기에서 말라리아 원충 확인, 말라리아 조심하세요!_질병관리청 보도참고자료(2023.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