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진

[웹진] SPC(single pill combination), 개별약제 복용보다 순응도 높여

진료과목 : 내과 , 신경과 , 가정의학과


후다닥 꿀팁 

복합제가 개별 약제 병용과 비교하여 높은 약물 순응도와 함께 환자의 약물 복용 부담도 감소시킵니다.


고령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만성질환 환자의 수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17년 노인실태조사에 따르면 국내 노인 처방약 개(알)수는 평균 3.9개라고 합니다. 약제 개수가 많아지면 환자들이 느끼는 약제에 대한 부담이 늘어날 수 있습니다.

 

최근 국내 리얼 월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고혈압 약제의 단일제형 복합제(single pill combination, SPC)가 약물 순응도를 개선시켰음을 확인한 연구가 British Medical Journal Open (BMJ Open)에 발표되었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NHI) 전체 46,605,433명(2008-2013년) 중 랜덤하게 추출된 1,048,061명(2.2%)의 샘플 코호트를 이용하여, 적어도 1년 이상 고혈압 약제인 안지오텐신II 수용체 차단제(ARB), 칼슘채널 차단제(CCB), ARB/CCB 병용을 처방 받은 성인 고혈압 환자 116,677명을 대상으로 하였습니다.

 

ARB 단독투여, CCB 단독투여, 개별 약제 복용(multiple-pill combinations, MPC), 단일제형 복합제(single pill combination, SPC)의 4군으로 나누어 복약 순응도를 평가하였습니다. MPR은 약물 순응도를 평가하는 지표로 값이 클수록 순응도가 높음을 의미합니다.

 

단일제형 복합제(SPC)의 복약 순응도는 89.7%로 개별 약제 병용의 복약 순응도 87.2%보다 높았습니다. 고혈압 환자에서 연령이 증가할수록 단일제형 복합제(SPC)는 개별 약제 병용(MPC)보다 복약 순응도가 높아졌습니다.

 

약제 개수도 복약 순응도에 차이를 주는 요인이었습니다. 약제 개수 5-6개에서 단일제형 복합제(SPC)의 복약 순응도는 90.6%, 개별 약제 병용(MPC)은 87.5%였으며, 7-9개에서 SPC의 복약 순응도는 90.9%, MPC는 85.3%였으며), 9개 이상에서 SPC의 복약 순응도는 91.2%, MPC는 82.5%로, 약제 개수가 증가할수록 SPC는 MPC보다 복약 순응도가 높았습니다. 65세 이상 고령에서는 약제 개수 3개 이상부터 SPC와 MPC의 복약 순응도 차이가 증가했습니다.

 

단일제형 복합제(SPC)는 개별 약제 병용(MPC)보다 복약 순응도가 높았으며, 환자의 연령과 약제 개수가 증가할수록 순응도 차이가 더 두드러졌습니다.


후다닥 Reference.

1)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

2) KIM SJ et al, BMJ Open 2019 Jun 22;9(6):e029862


연관 질환백과 바로가기

후다닥 건강 알림

알럿창 내용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