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다닥포스트 상세
[웹진] 갑상선기능저하증 질환자 56만 명.. 연평균 4.5% 증가
진료과목 : 내과
Who Da Doc TIP.
- 2020년 진료인원 56만 2천 명 … 남성 9만 2천 명, 여성 47만 명
- 50대 23.4%(13만 2천 명), 60대 21.6%(12만 1천 명), 40대 18.5%(10만 4천 명)의 순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하여 2016년부터 2020년까지 ‘갑상선기능저하증(E03)’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발표했습니다. 진료인원은 2016년 47만 2천 명에서 2020년 56만 2천 명으로 9만 1천 명이 증가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4.5%로 나타났습니다. 남성은 2016년 7만 1천 명에서 2020년 9만 2천 명으로 29.4%(2만 1천 명) 증가하였고, 여성은 2016년 40만 명에서 2020년 47만 명으로 17.4%(7만 명) 증가했습니다.
<2016년~2020년 ‘갑상선기능저하증’ 질환 성별 진료인원>
(단위: 명, %)
1. 2020년 ‘갑상선기능저하증‘ 50대가 23.4%(13만 2천 명) 가장 많아
2020년 기준 ‘갑상선기능저하증’ 질환의 연령대별 진료인원 구성비를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56만 2천 명) 중 50대가 23.4%(13만 2천 명)로 가장 많았고, 60대가 21.6%(12만 1천 명), 40대가 18.5%(10만 4천 명)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남성의 경우 60대 23.2%, 50대 20.8%, 70대 16.6%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우는 5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23.9%로 가장 높았고, 60대 및 40대 이상이 각각 21.2%, 19.4%를 차지했습니다.
<2020년 ‘갑상선기능저하증’ 질환 연령대별 / 성별 진료인원>
(단위: 명, %)
2. 2020년 ‘갑상선기능저하증‘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 1,095명
인구 10만 명당 ‘갑상선기능저하증’ 질환 진료인원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2020년 1,095명으로 2016년 929명 대비 17.9% 증가하였으며, 남성은 2016년 279명에서 2020년 357명으로 증가하였고, 여성은 2016년 1,586명에서 2020년 1,837명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인구 10만 명당 ‘갑상선기능저하증’ 질환 진료인원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60대가 1,848명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성별로 구분해보면, 남성은 80대 이상이 1,087명으로 가장 많고, 70대 976명, 60대 668명 순이며, 여성은 60대가 2,969명으로 가장많고, 50대 2,640명, 70대 2,568명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3. 2020년 ‘갑상선기능저하증‘ 총진료비 1,616억 원(‘16년 대비 38.2% 증가)
‘갑상선기능저하증’ 질환으로 인한 건강보험 총진료비는 2016년 1,169억 원에서 2020년 1,616억 원으로 2016년 대비 38.2%(447억 원) 증가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8.4%로 나타났습니다. 2020년 기준 성별 ‘갑상선기능저하증’ 건강보험 총진료비 구성비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60대가 25.5%(411억 원)으로 가장 많았고, 50대 23.5%(379억 원), 40대 15.1%(244억 원)순 이였으며 성별로 구분해보면, 남성은 60대가 25.6%(67억 원)로 가장 많았고, 여성은 60대가 25.4%(344억 원)로 가장 많았습니다.
4. 2020년 ‘갑상선기능저하증‘ 1인당 진료비 28만 7천 원
진료인원 1인당 진료비를 5년 간 살펴보면, 2016년 24만 8천 원에서 2020년 28만 7천원으로 15.9% 증가하였으며, 성별로 구분해보면, 남성은 25만 5천 원에서 2020년 28만 5천 원으로 12.1% 증가하였고, 여성은 2016년 24만 7천 원에서 2020년 28만 8천 원으로 16.7% 증가했습니다. 2020년 기준 진료인원 1인당 진료비를 연령대별로 보면, 80대 이상이 38만 1천 원으로 가장 많았고, 70대 36만 4천 원, 60대 34만 원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WPA2302MO01
후다닥 Reference
국민건강보험공단 보도자료, 「치매로 오인 될 수 있는「갑상선기능저하증」질환자 56만 명」 (21.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