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사진처럼 처음엔 눈 밑과 위가 부어 오르다가 나중에는 땡땡해서 뭐가 터질 것 처럼 부어 올랐어요. 간지러워서 긁은 후로 저렇게 올라왔고 부은 후 부터는 간지럽진 않아요.
입술 밑에가 바이러스처럼 화끈거리는 증상이 2주 정도 전부터 있긴 했었고, 그날 특이하게 먹은거는 병원에서 새로 받아온 약(일주일 전부터 먹어오던 약과 소염제만 다르고 나머진 동일)과 망고 뿐이었는데.. 혹시 이게 연관이 있을까요?
어제 너무 부어서 응급실 다녀와서 수액이랑 알러지 약도 맞긴 했는데 붉은 기랑 땡땡함은 가라앉았어도 여전히 붓기는 똑같은데.. 처방약 먹으면서 시간 지나면 괜찮아지는걸까요?ㅠㅠ
변**
작성일 2023.03.07
조회수 320
이성훈 의사
건강지킴이
단정하긴 어렵지만 약물 반응에 의한 부종으로 보입니다. 계속 치료 하시고 향후 유발 의심 약제는 기억하셨다가 회피하세요
장종순 의사
건강지킴이
맥관부종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일종의 알러지 질환으로 소염 진통제나 항생제 등 약물과 음식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입술과 구강안쪽으로 진행되면 호흡곤란도 발생할 수 있으니 빨리 가까운 병원에서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김경남 의사
건강지킴이
안녕하세요.
#요약
1. 두드러기 입니다.
2. 시간이 지나면 그냥 없어지기도 하는데, 안 없어지면 약의 힘을 빌리세요 #
두드러기는 피부나 점막에 존재하는 혈관의 투과성이 증가되면서
일시적으로 혈장 성분이 조직 내에 축적되어 피부가 붉거나 흰색으로 부풀어 오르고
심한 가려움증이 동반되는 피부질환인데,
피부 상층부의 부분적인 부종에 의해서 피부가 부풀어 오르며,
심한 가려움증이나 따끔거림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곤충 자상, 음식물 알레르기, 약물, 감염, 기계적·물리적 자극 등의
여러 가지 원인과 기전에 의해 발생하는데, 대부분 원인을 모르는 경우가 더 많을겁니다.
치료로는 가려움증을 덜기 위해 주로 항히스타민제를 쓰면서 관리하게 됩니다.
알레르기 유발 원인 물질을 추측하기 어렵거나
다수의 알레르기 유발 원인물질에 감작 되어있을 가능성이 있는 경우,
한 번의 혈액 채취로
호흡기, 아토피, 음식물에 관한 알레르기 항원을 검사할 수 있기 때문에
알레르기 검사 MAST 검사가 유용할 수는 있으나,
MAST 검사에서도 특정 음식이 원인으로 나오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건승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