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혈 금지 약물들은 어떤게 있나요 ?
감기약 먹고 있는데 헌혈 할 수 있나요 ?
오**
작성일 2023.07.06
조회수 118
이한별 의사
건강지킴이
헌혈 금지 약물은 다음과 같습니다.
항생제
항바이러스제
항진균제
항암제
면역억제제
혈액응고제
마약류
향정신성 약물
기타 약물(의사와 상담)
주민호 의사
건강지킴이
헌혈 금지 약물에는
태아 기형을 일으킬 위험이 있는 약물
기타 약물 및 주사제
예방접종
태아 기형을 일으킬 위험이 있는 약물은 건선 치료제(에트레티네이트, 아시트레틴), 전립선비대증·탈모증 치료제(두타스테라이드, 피나스테라이드), 여드름 치료제(아큐탄, 이소트레티노인), 습진 치료제(알리트레티노인), 항악성종양 치료제(탈리도마이드, 비스모데깁) 등이 있다. 이들 약은 성분에 따라 복용 후 4주~3년 동안 헌혈해선 안 된다. 특히 '에트레티네이트'를 복용한 사람은 영구적으로 헌혈을 금지하고 있다.
기타 약물 중에서는 사람뇌하수체 유래 성장호르몬, 소에서 추출한 인슐린, 면역억제제 등이 영구 헌혈 금지 약물로 지정돼 있다. 태반주사제와 혈액응고인자는 1년, 티클로피딘은 2주, 항생제·스테로이드제·보톡스·클로피도그렐은 1주, 흔히 사용하는 아스피린도 3일 동안은 헌혈 금지 기간으로 두고 있다. 다만, 항생제는 감기 치료 목적으로 경구 복용 중인 경우에 한해 3일 동안만 헌혈을 제한한다.
예방접종 후에도 일정 기간 동안은 헌혈을 금한다. B형간염 면역글로블린, 동물에게 물린 후 광견병의 예방접종, 국내에서 허가받지 않은 예방접종 등은 헌혈 금지 기간이 1년이다. 수두, 상처 후 파상풍, 인플루엔자 생백신, BCG 접종, MMR 백신, 대상포진, 일본뇌염 생백신은 접종 후 4주 동안, B형간염, 황열, 경구용 소아마비, 경구용 장티푸스는 2주 동안, 콜레라, 디프테리아, 인플루엔자, A형간염, 주사용 장티푸스, 주사용 소아마비, 파상풍, 백일해, 일본뇌염 사백신, 유행성 출혈열, 탄저병, 공수병, 폐렴구균, 자궁경부암 백신(가다실·서바릭스)은 24시간 동안 헌혈하지 못한다.
감기약 먹고 3일후 증상 없으면 해도 됩니다.
서민석 의사
건강지킴이
감기약은 문제 없습니다. 남성 탈모 치료제, 인슐린, 항생제 정도가 일정 기간 헌혈이 불가능합니다.
이이호 의사
건강지킴이
헌혈 시 헌혈자의 안전을 위해 몇 가지 약물은 헌혈 금지 사항으로 분류됩니다. 다음은 일반적으로 헌혈 시 주의해야 할 약물 몇 가지입니다. 그러나 약물 복용 여부와 헌혈 가능 여부는 개인의 건강 상태, 약물의 종류 및 복용량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의료 전문가나 현지 헌혈 기관과 상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항응고제: 항응고제는 혈액 응고를 억제하는 약물로, 헌혈 시 일시적으로 헌혈을 제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항응고제를 복용 중인 경우 헌혈을 하기 전에 의료 전문가와 상담해야 합니다.
항생제: 일부 항생제는 헌혈 시간에 따라 헌혈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헌혈을 할 경우 복용 중인 항생제에 대해 의료 전문가와 상담해야 합니다.
항알러지제: 일부 항알러지제는 족부 헌혈 시간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알레르기 테스트 및 면역계 헌혈 시 헌혈을 제한할 수도 있습니다.
항우울제: 일부 항우울제는 헌혈 시간에 따라 헌혈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헌혈을 할 경우 복용 중인 항우울제에 대해 의료 전문가와 상담해야 합니다.
감기약은 헌혈에 일반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약물의 구성 성분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헌혈을 할 경우에는 복용 중인 약물에 대해 헌혈 기관에 알려주고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헌혈을 고려하고 있다면 현지 헌혈 기관이나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여 개인적인 상황에 맞는 조언과 지침을 받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김경남 의사
건강지킴이
안녕하세요
일반적으로 헌혈을 할 수 없는 상황은
-감기약 복용자
-아스피린(아스트릭스 등) 복용자
-1개월 이내 내시경 검사자
-1개월 이내 외국(나라 불문) 여행자
-말라리아 위험지역 1년 이내에(12,1,2월 제외) 1일이상 숙박시
등등 입니다.
건승하세요
Q&A 다른 질문
-
Q
발바닥 통증이 심하면 어느과를 가야 하나요A
정형외과에서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정형외과에서는 발바닥 통증의 원인을 정확히 진단하고, 필요한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
Q
발바닥 통증이 심하면 러닝을 안하는 것이 좋을까요A
발바닥 통증이 심할 경우, 러닝을 잠시 중단하는 것이 좋습니다. 통증은 우리 몸이 보내는 신호이며, 이를 무시하고 운동을 지속하면 기존의 문제가 악화되거나 추가적인 부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Q
입술 염증은 어느 병원 어느과로 가야 하나요A
입술 염증이 있을 경우, 피부과 또는 이비인후과를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