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원인
진전의 원인으로는 파킨슨병, 파킨슨 증후군, 소뇌 진전, 약물, 술 등이 있습니다. 본태성 진전은 아직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지만, 소뇌의 세포들이 일찍 노화되면서 생긴다고 추정됩니다
증상
본태성 진전의 증상은 손에 힘을 줄 때 더 심해지며, 마음을 안정시키거나 술을 마시면 약해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반대로 파킨슨병으로 인한 손떨림은 힘을 뺄 때 증상이 더 심해집니다. 본태성 진전은 건강에 큰 해를 끼치지 않습니다. 하지만 다른 사람이 볼 때 이 환자가 불안해서 손을 떨거나 고개를 흔든다고 오해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질환이 있는 환자는 사회생활에 큰 어려움을 겪습니다. 증상이 심해지기 전에 치료하여 환자가 원만한 사회생활을 하도록 도와주어야 합니다.
진단
진전의 진단에는 다양한 검사를 활용합니다. 혈액 검사는 갑상선기능항진증, 저혈당 등의 이차적 요인과 관련이 있는지를 구별하는 데 이용됩니다. 진전 분석이라는 신경생리학적 검사는 진전의 원인이 중추신경계의 이상인지, 항진된 생리적 진전인지를 구분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외에 자세한 진찰을 진행하여 파킨슨병으로 인한 진전을 구분합니다.
치료
뇌심부자극 수술은 파킨슨병, 본태성 진전(떨림), 근긴장이상 환자에게 시행되는 최첨단 뇌 수술입니다. 이 수술은 고도의 정밀한 수술 방법을 요구하며, 최첨단 장비와 많은 의료 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국내외적으로 일부 대형 병원에서만 시행되고 있습니다. 뇌심부자극 수술은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만 시행되어야 합니다.
경과
항진된 생리적 진전은 원인이 되는 약물의 복용을 중단하거나 갑상선기능항진증, 저혈당 등의 이차적 원인을 제거하여 치료할 수 있습니다. 본태성 진전, 파킨슨병에 의한 진전은 약물을 투여하여 증세를 현저히 호전시킬 수 있습니다. 증상이 심하여 약물에 반응하지 않으면, 뇌심부자극술이라는 수술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관련 건강 Q&A
-
Q
손이 떨립니다. 왜 이런가요 ?A
내과적으로 갑상선 질환이 있는경우 가장 대표적인 손떨림 질환입니다. 그리고, 불면증 , 무리한 운동, 과로, 몸살등으로 인한 손떨림이 많구요 다이어트등으로 체중감량을 한경우, 근손실이 있는경우 약제등에 의한 부작용으로 손떨림이 있을수도 있습니다. -
Q
약 2주전에 자다가 발작현상이 일어나서 응급실에 갔습니다. 뇌사진도 찍어봤는데, 정상이 나와서 2시간만에 퇴원했습니다. 그후로 1주일 뒤에 갑자기 몸에 움찔거리는 떨림 현상이 일어나기 시작했습니다. 문제가 잘때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도 떨림 현상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찾아보니 파킨슨 떨림일 수도 있다는데 아직 10대고 신체능력저하 그런건 없는 것 같아서 그럴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봅니다 가족중에 아빠가 잘 때 움찔거리는 습관?을 가지고 계시는데 유전적인 문제인가요 아니면 다른 이유라도 있는 건가요 답변 부탁드립니다A
신경과나 신경정신과를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
Q
약 2주전에 자다가 발작현상이 일어나서 응급실에 갔습니다. 뇌사진도 찍어봤는데, 정상이 나와서 2시간만에 퇴원했습니다. 그후로 1주일 뒤에 갑자기 몸에 움찔거리는 떨림 현상이 일어나기 시작했습니다. 문제가 잘때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도 떨림 현상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찾아보니 파킨슨 떨림일 수도 있다는데 아직 10대고 신체능력저하 그런건 없는 것 같아서 그럴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봅니다 가족중에 아빠가 잘 때 움찔거리는 습관?을 가지고 계시는데 유전적인 문제인가요 아니면 다른 이유라도 있는 건가요 답변 부탁드립니다A
아버지께서 틱증상이 있는데 자년분이 이러한 움찔거리는 습관이 있으신 것은 유전적인 요인도 가능하지만, 다른 원인도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스트레스, 불안, 피로, 뇌전증 등 다양한 신경학적 질환으로 인해 움찔거리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연령 등을 고려했을때 파킨슨병일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사료되니 신경과에서 확인해보셔야 하겠습니다.
기본 정보는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를 참고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