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다닥포스트 상세
[웹진] 2023년을 말라리아 재퇴치의 출발점으로!
진료과목 : 예방의학과
후다닥 꿀팁
질병관리청은 ‘세계 말라리아의 날(4월 25일)’을 맞아 2030년까지 말라리아 재퇴치를 목표로 협력을 강화해 나아갈 것을 약속했습니다.
말라리아는 모기를 통해 전파되는 매개체 감염병(vector-borne disease)으로, 전 세계에서 가장 질병부담이 큰 질환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2022년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이하 WHO) 보고*에 따르면, 2021년 한 해 동안 84개 국가에서 약 2억 4,700만 명의 환자가 발생하였으며, 이 중 95%는 아프리카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World malaria report 2022, WHO
세계보건기구는 2030년까지 35개국에서 말라리아 퇴치를 목표로, 매 5년마다 말라리아 우선퇴치 권고국가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우선퇴치 권고국가(E-2025)에 포함되어 있으며, 경제협력기구(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이하 OECD) 가입국 중에는 우리나라, 멕시코, 코스타리카 3개국만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말라리아는 한국전쟁 이후 세계보건기구와 공동으로 추진한 <말라리아 근절 사업>을 통해 1979년 완전한 퇴치를 선언한 바 있습니다. 그러나 1993년 휴전선 인근에서 말라리아가 재출현한 이후, 현재는 인천, 경기, 강원을 중심으로 민간인 및 군인에서 매년 300~400명 수준의 환자가 지속 발생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 발생하는 ‘삼일열 말라리아’는 모기를 통해 주변 사람들에게 전파될 수 있고, 완전한 치료 및 재발방지를 위해서는 장기간 약을 복용해야 하며, 치료 종료 후에도 3년간 헌혈이 금지되는 등의 불편을 초래하므로 사전에 전파를 차단하고 감염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에 질병관리청은 말라리아 위험지역에 거주하는 주민과 휴전선 접경지역 부대 장병들을 대상으로 ▲말라리아 예방수칙 홍보, ▲감염자 대상 복약수첩 배포 및 철저한 복약지도, ▲말라리아 예방약 복용 등을 실시하는 한편, ▲의료인 및 군의관 대상의 말라리아 교육도 시행, 말라리아를 사전에 예방하고 발생 시 조기에 치료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후다닥 Reference
질병관리청 보도자료, 2023년을 말라리아 재퇴치의 출발점으로! (2023.4.25. 배포)
WPA2305MJ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