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진

[웹진] 콩기름 섞은 가짜 크릴오일을 판별할 수 있도록 기준이 개선됩니다

진료과목 : 내과 , 가정의학과

후다닥 꿀팁 

크릴오일 식품에 식물성유지 등의 콩기름을 혼합한 가짜 제품을 구별하는데 한계가 있는 현 상황에서, 

식약처가 크릴오일의 지방산 규격과 인지질 함량 분석의 기기분석법을 신설, 가짜 크릴오일을 판별할 수 있도록 기준을 개선한다고 합니다.

   

식약처, 콩기름 섞은 가짜 크릴오일 판별할 수 있도록 기준 개선


식약처는 크릴오일의 지방산 규격을 신설하는 내용 등을 담은 식품의 기준 및 규격 고시 개정안을 9월 30일 행정예고한다고 보도자료를 통해 밝혔습니다. 개정안 중 주요 내용인 크릴오일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식약처는 크릴오일은 인지질이 많아 인지질 함량 30% 이상을 기준으로 정하고 있으나, 인지질 함량 기준만으로는 저가의 식물성유지(콩기름 등)를 혼합한 가짜 제품을 구별하는데 한계가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해 크릴오일의 지방산의 규격(크릴유 : 리놀레산 3% 이하, 미리스트산 5~13%)을 신설했습니다.

 

크릴오일의 지방산 중 주요 성분인 미리스트산이나 리놀레산 등이 크릴오일에는 미리스트산이 5~13%, 리놀레산이 0~3% 함유되어야 하는 반면, 콩기름이나 옥수수유, 카놀라유 등의 식물성유지에는 미리스트산이 0~0.2%, 리놀레산이 15~74%로 그 지방산의 규격이 다릅니다.

 

또한 국내에서 크릴오일의 인지질 함량 분석에 사용 중인 아세톤불용법(지질 중 아세톤에 녹지 않은 성분을 분리하여 무게를 측정하는 방법)은 실험 특성상 재현성이 낮은 단점이 있어 보다 정확하고 재현성이 있는 분석이 가능한 기기분석(HPLC, NMR법)을 신설했습니다.

 

식약처는 크릴류의 규격/시험법 신설로 크릴오일에 콩기름 등 값싼 식물성유지를 혼합판매하는 행위를 근절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소비자를 보호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WPA2110MA01


  후다닥 Reference

콩기름 섞은 가짜 크릴유 판별할 수 있도록 기준 개선 식약처 보도자료(2021.09.30)

후다닥 건강 알림

알럿창 내용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