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진

[웹진] 일광화상 주의하세요!

진료과목 : 피부과

후다닥 꿀팁 

점점 강해지는 햇빛, 일광화상 주의하세요!



<일광화상이란?>

자외선에 의한 피부반응은 홍반반응, 일광화상, 색소침착, 광노화, 피부암 발생 등이 있습니다. 일광화상의 원인은 햇빛 속에 있는 자외선이며, 자외선 중에서도 주로 자외선B(UVB)가 일광화상을 유발합니다.

자외선A(UVA)도 어느 정도 역할을 하는데 이는 자외선A의 홍반발생 능력이 자외선B에 비해 1/1,000 정도밖에 되지 않지만 햇빛 속에 자외선A가 자외선B에 비해 10~100배 정도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자외선에 의한 일광화상의 발생기전은 자외선이 직접 혈관에 작용하여 유발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자외선에 의해서 활성화된 각질형성세포와 비만세포에서 분비되는 히스타민, 세로토닌, 프로스타글란딘, 인터루킨(interleukin), 뉴로펩타이드(neuropeptide) 등에 의해 발생합니다. 이는 혈관을 확장시키고 혈관벽의 투과성을 증가시켜 염증세포를 혈관에서 표피와 진피 내로 침윤되도록 하여 홍반과 부종을 일으켜서 자외선에 의한 피부 염증반응인 일광화상을 유발합니다.

 

<증상>

일광화상은 햇빛 노출에 대한 정상반응으로 4-6시간의 잠복기를 거친 후 발생하여 16-24시간에 최고에 도달하고 72-120시간 후에 소실됩니다.

햇빛을 받은 부위는 처음에 피부가 붉어지고 부풀어 오르며 따끔거리거나 화끈거리고, 심한 경우에는 통증, 물집 등이 생깁니다. 두통, 오한, 발열, 오심, 빈맥 등의 전신 증상과 쇼크 현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예방>

하루 중에서 오전 11시 부터 오후 1시 까지가 햇빛이 가장 강하므로 여름철에는 이 시간대에 노출을 줄이는 것이 일광화상의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눈, 모래, 물 등에서 반사된 햇빛도 일광화상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백사장이나 스키장에서도 자외선 차단에 소홀 해서는 안 됩니다. 흐린 날에도 장기간 햇빛에 노출되면 누적 자외선 양이 많아져서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자동차의 유리는 자외선B 는 차단하지만 자외선A가 통과하므로 장기간 운전 시에는 자외선 차단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얼굴 보호를 위해서 챙이 달린 모자가 도움이 되며 일광차단제(sunscreens, 일광차단지수/SPF 15-30 이상)를 바르는 것이 일광화상의 예방뿐만 아니라 기미 주근깨와 같은 색소침착과 광노화를 막아 주는 데 효과가 있습니다.

햇빛 노출을 막기 위해서는 모자, 의복, 양산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최근에는 자외선 차단 기능이 강화된 기능성 섬유로 만들어진 제품들도 나오고 있습니다

 

<치료>

일광화상의 치료는 통증을 완화시키는 대증요법이 도움이 됩니다. 가벼운 홍반, 부종, 통증이 있는 경증의 일광화상은 얼음찜질, 샤워 등으로 피부를 식혀주고, 냉수나 Burrow액으로 냉습포를 20분씩 하루3-4회 시행하는 것이 증상완화에 효과적입니다.

피부연화제나 보습제를 바르는 것이 피부의 건조나 홍반을 억제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염증이나 통증이 심한 경우 국소스테로이드제를 바르고 가려움증이 동반된 경우에는 항히스타민제를 경구 투여하기도 합니다.



  후다닥 Reference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 IN-건강생활-건강/질병정보-일광화상


WPA2205MF02

연관 질환백과 바로가기

후다닥 건강 알림

알럿창 내용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