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다닥포스트 상세
[웹진] 탈모증 질환 환자, 젊은 30대가 5만 2천명으로 가장 많아
진료과목 : 피부과
후다닥 꿀팁
2016년부터 2020년까지 탈모증 질환 환자가 연평균 2.4%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용익)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하여 2016년부터 2020년 ‘탈모증(L63~L66)’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발표하였습니다.
진료인원은 2016년 21만 2천 명에서 2020년 23만 3천 명으로 2만 1천 명이 증가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2.4%로 나타났습니다.
남성은 2016년 11만 7천 명에서 2020년 13만 3천 명으로 13.2%(1만 6천 명) 증가하였고, 여성은 2016년 9만 5천 명에서 2020년 10만 명으로 5.8%(6천 명)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2016년~2020년 ‘탈모증’ 질환 성별 진료인원 >
(단위: 명, %)
구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증감률 (‘16년 대비) |
연평균 증감률 |
전체 |
212,141 |
214,228 |
224,800 |
232,596 |
233,194 |
9.9 |
2.4 |
남성 |
117,492 |
119,145 |
126,456 |
132,355 |
133,030 |
13.2 |
3.2 |
여성 |
94,649 |
95,083 |
98,344 |
100,241 |
100,164 |
5.8 |
1.4 |
- 2020년 ‘탈모증’질환 30대가 22.2%(5만 2천 명) 가장 많아
2020년 기준 ‘탈모증’ 질환 진료인원 구성비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23만 3천 명) 중 30대가 22.2%(5만 2천 명)로 가장 많았고, 40대가 21.5%(5만 명), 20대가 20.7%(4만 8천 명)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남성의 경우 30대 25.5%, 40대 22.3%, 20대 22.2%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우는 4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20.4%로 가장 높았고, 50대 및 20대가 각각 19.6%, 18.6%를 차지하였습니다. 특히, 10대부터 40대까지는 여성보다 남성이 많았고, 9세이하와 50대이상은 남성보다 여성이 많았습니다.
< 2020년 ‘탈모증’ 질환 연령대별 / 성별 진료인원 >
(단위: 명, %)
구분 |
전체 |
9세 이하 |
10대 |
20대 |
30대 |
40대 |
50대 |
60대 |
70대 |
80대 이상 |
계 |
233,194 |
3,970 |
15,970 |
48,257 |
51,751 |
50,038 |
38,773 |
18,493 |
5,001 |
941 |
(100) |
(1.7) |
(6.8) |
(20.7) |
(22.2) |
(21.5) |
(16.6) |
(7.9) |
(2.1) |
(0.4) |
|
남성 |
133,030 |
1,735 |
9,124 |
29,586 |
33,913 |
29,607 |
19,186 |
7,843 |
1,740 |
296 |
(100) |
(1.3) |
(6.9) |
(22.2) |
(25.5) |
(22.3) |
(14.4) |
(5.9) |
(1.3) |
(0.2) |
|
여성 |
100,164 |
2,235 |
6,846 |
18,671 |
17,838 |
20,431 |
19,587 |
10,650 |
3,261 |
645 |
(100) |
(2.2) |
(6.8) |
(18.6) |
(17.8) |
(20.4) |
(19.6) |
(10.6) |
(3.3) |
(0.6) |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피부과 조남준 교수는 젊은 30대 탈모환자가 늘고 있는 것에 대해 “남성형 탈모증(안드로겐 탈모증)은 남성 호르몬과 유전에 의해 발생한다. 젊은 층의 탈모 증가는 실제로 탈모가 증가한다기보다는 생활수준 향상으로 외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해서 병원을 찾는 젊은 층이 늘어났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하였습니다.
- 2016년~2020년까지 5년 동안‘탈모증’질환으로 한번 이상 진료 받은 전체 인원은 87만 6천 명으로 나타나
2016년부터 2020년 까지 5년 동안 ‘탈모증’ 질환으로 한번 이상 진료를 받은 전체인원은 87만 6천 명입니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20대(20.6%), 40대(21.2%), 30대(22.7%)순으로 나타났으며, 20~40대 모두 약 20% 대로 비슷한 진료인원을 보였고, 50대부터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남성은 30대(25.9%), 20대(22.5%), 40대(21.5%) 순으로 나타났으며, 20~40대 모두 약 20% 대로 비슷한 진료인원을 차지하였습니다. 여성은 40대(20.8%)로 가장 많았고, 30대(18.7%), 50대(18.7%) 순으로 나타났으며, 60대부터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2016년~2020년 ‘탈모증’ 질환 연령대별 / 성별 진료인원 >
(단위: 명, %)
구분 |
전체 |
9세 이하 |
10대 |
20대 |
30대 |
40대 |
50대 |
60대 |
70대 |
80대 이상 |
계 |
875,815 |
22,073 |
67,712 |
180,560 |
198,952 |
185,317 |
138,570 |
61,300 |
18,100 |
3,231 |
(100) |
(2.5) |
(7.7) |
(20.6) |
(22.7) |
(21.2) |
(15.8) |
(7.0) |
(2.1) |
(0.4) |
|
남성 |
487,599 |
8,883 |
38,649 |
109,697 |
126,451 |
104,700 |
66,122 |
25,755 |
6,335 |
1,007 |
(100) |
(1.8) |
(7.9) |
(22.5) |
(25.9) |
(21.5) |
(13.6) |
(5.3) |
(1.3) |
(0.2) |
|
여성 |
388,216 |
13,190 |
29,063 |
70,863 |
72,501 |
80,617 |
72,448 |
35,545 |
11,765 |
2,224 |
(100) |
(3.4) |
(7.5) |
(18.3) |
(18.7) |
(20.8) |
(18.7) |
(9.2) |
(3.0) |
(0.6) |
※ 2016년부터 2020년까지 5년 동안 ‘탈모증’ 질환으로 한번 이상 진료받은 인원(중복인원 제외)
후다닥 Reference
머리가 뭉텅뭉텅 빠지는「탈모증」질환 전체 환자 23만 명_국민건강보험 빅테이터전략본부 보도자료(20.07.16)
WPA2207MF01